[현장] 여성폭력 근절·대응에 전국 기관 "광역단위 협업"

한국여성인권진흥원, 여성폭력방지정책 특별포럼 "여성폭력 피해지원 '광역단위 다기관 협력 모델'로"

2024-12-10     서은정 인턴기자
10일 서울 서대문구 한국여성인권진흥원에서 '여성폭력방지정책 특별포럼'이 열렸다. /서은정 기자

여성에 대한 폭력이 끊이지 않고 있는 가운데 여성 폭력 문제 전문가들 사이에서 피해자 지원을 위해 광역 단위 유관기관이 상시 협업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한국여성인권진흥원은 10일 서울 서대문구 한국여성인권진흥원에서 전국여성정책네트워크와 공동으로 '여성폭력방지정책 특별포럼'을 개최했다.

이날 토론에 참석한 정혜원 경기도 여성가족재단 젠더폭력통합대응단장은 다기관 협력을 통한 젠더폭력 통합 대응 체계 구축을 강조했다.

정 단장은 "다기관 협력체계를 구축해 지역과 함께 빈틈없이 피해자를 지원하고 있다"며 "도민 대응감시단과 젠더폭력 예방 서포터즈 등 도민 참여 정책을 진행하고 딥페이크 유포 관련 공익 캠페인 등을 통해 인식 개선을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기존 법 제도 미비로 인한 사각지대 피해자 지원 예산을 별도로 수립하고 디지털 성범죄 원스톱 센터 사각지대 삭제지원 등을 진행하고 있다"며 "모든 도민이 젠더 폭력 방지를 위한 적극적 방어자가 될 수 있도록 노력했다"고 말했다.

최자은 양성평등사업실장은 '폭력예방 및 대응을 위한 서울시 여성가족재단의 성과와 시사점'을 발표했다. 최 실장은 "서울시는 '여성이 행복한 도시 프로젝트'를 진행했다"며 "화장실, 주차장, 귀갓길 등 물리적 안전 기반 조성 및 개선에 주력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디지털 성범죄 유통 실태 점검 및 피해 지원사업을 진행하기 위해 서울경찰청과 협력해 여성청소년과 소속 경찰 600명 전원을 교육했다. 아울러 서울 디지털 성범죄 안심센터·서울 스토킹 피해자 원스톱지원센터 등을 개소하고 경찰 핫라인 시스템 연계를 통한 전국 최초 스토킹 피해 등을 지원했다"고 밝혔다.

최자은 양성평등사업실장이 '폭력예방 및 대응을 위한 서울시 여성가족재단의 성과와 시사점'을 발표하고 있다. /서은정 기자

정경숙 부산광역시 여성폭력방지종합지원센터장은 '여성폭력방지 통합지원기관 최초 설치 및 운영 사례'를 공유했다. 정 센터장은 "올해 중점 사업으로 소규모 민간사업장의 성희롱·성폭력 피해 대응 전담 창구와 디지털 성범죄피해자 지원센터, 젠더범죄 예방사업실 등을 운영했다"며 "지역사회 내 지원센터는 성인지적 관점에 기초한 여성 폭력 예방 저변 확대, 컨트롤 타워 및 거점기관·여성 폭력 거점 교육 기관 역할 등을 한다"며 지역사회 내 센터의 역할을 강조했다.

전예지 강원특별자치도 여성가족연구원 연구위원은 강원특별자치도의 디지털 성범죄 통합 대응체계 구축 방안을 발표했다. 전 위원은 "내년 도내 설립·운영 예정인 디지털 특화 상담소를 통해 24시간 피해 지원을 위한 핫라인을 구축할 예정"이라며 "영동·영서 지역을 모두 포괄하는 피해자 대응 센터 운영을 통해 디지털 성범죄 통합 대응체계가 구축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했다.

이경하 충청남도 여성가족청소년 사회서비스원 연구위원은 '충청남도 가정폭력 실태 및 지원방안 연구 성과'를 공유했다. 이 연구위원은 "가정폭력 정책 추진 기반 강화, 피해자 안전 및 자립 지원 강화, 가정폭력 예방 및 근절 환경 조성의 3가지 영역에서 10가지 세부 과제를 도출했다"며 "충남형 가정폭력 예방 및 피해자 지원 강화를 정책의 목표로 설정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