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尹탈당' 놓고 친윤-친한 의견 엇갈려

국힘 '대통령 탄핵 반대' 당론 확정 친윤계 "대통령 탈당시 탄핵 못 막아" 친한계 "탈당 거부시 출당·제명해야"

2024-12-05     서은정 인턴기자
국민의힘 한동훈 대표(오른쪽)가 5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위원들의 발언을 경청하고 있다. /연합뉴스

'대통령 탈당'을 놓고 국민의힘 내 친윤(친윤석열)계와 친한(친한동훈)계 간 입장차가 크다. '대통령 탄핵'과 관련해선 반대로 당론을 정한 반면 '대통령 탈당'을 놓고는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

5일 한 대표는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당 대표로서 이번 탄핵은 준비 없는 혼란으로 인한 국민과 지지자들의 피해를 막기 위해 통과되지 않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친한계는 '대통령 탄핵 공세'에는 반대로 입장을 굳혔다. 두 번째 탄핵만은 반드시 막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하지만 탈당과 관련해선 의지를 굽히지 않고 있다. 대통령이 자진 탈당하지 않을 경우 제명·출당까지 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반면 친윤계는 윤 대통령 탈당에 반대하는 입장이다. 대통령 탈당은 곧 탄핵으로 이어진다고 우려하고 있다. 아울러 임기 중간에 대통령이 탈당한 전례도 없거니와 당적을 버린 대통령을 향한 야당의 공세를 여당이 막아주기 어렵다는 인식을 드러냈다.

한 친윤계 중진 의원은 대통령이 탈당하면 우리가 여당이 아닌데 탄핵을 막을 명분이 없다며 탄핵을 막겠다면서 탈당을 요구하는 것은 앞뒤가 안 맞다는 입장이다.

김태흠 충남도지사는 소셜미디어(SNS)에 "민주당과 맞서 싸우고 난제들을 수습하는 과정에서 어떤 선택보다도 가장 중요하고 소중한 것은 당의 단합"이라며 "어떤 선택을 하더라도 당이 분열하는 것보다는 낫다"고 썼다.

이종훈 정치평론가는 여성경제신문과의 통화에서 "당이 살려면 윤석열 대통령을 지금부터 손절하는 게 맞다"며 "장기적으로 국민들의 선택을 받고 당이 살아남기 위해 대통령을 손절하지 않으면 안 되는 상황이다"고 말했다.

이어 "하지만 친윤계 의원들은 윤 대통령에게 신세 진 바가 있을 뿐 아니라, 윤 대통령과 연결고리가 끊어지면 낙동강 오리알 신세가 될 수 있는 상황"이라며 "앞으로 자력으로 살아남아야 되는 상황에 부닥쳐 있어 윤석열 대통령의 탈당을 반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한 대표는 오는 6일 친한계 의원들과 긴급회의를 하고 윤석열 대통령의 계엄령 선포 사태에 대한 수습책을 논의할 것으로 알려졌다. 한 대표는 내일 오전 8시쯤 당 대표실에서 당내 친한계 인사 25명가량을 모아 긴급회의를 연다. 의제 없이 자유 토론을 할 계획이지만 주로 계엄령 선포 사태에 대한 수습 방안이 논의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