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슬라 제친 BYD, 한국 전기차 시장 출사표 '새 판 짜기'

다음 달 15일 상륙, 한국 시장 '경쟁 격화' 자국산 점유율·중국산 불신, BYD의 과제 전기차 전문가, "가성비 무시하기 어려워"

2024-12-03     김성하 인턴기자
세계 1위 전기차 업체인 중국 비야디(BYD)가 다음 달 15일 국내 출시를 확정 지으며 한국 자동차 산업에 미칠 영향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BYD 글로벌 공식 홈페이지

세계 1위 전기차 업체인 중국 비야디(BYD)가 다음 달 15일 국내 출시를 확정 지으며 한국 자동차 산업에 미칠 영향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3일 코리아 중앙데일리에 따르면 BYD는 소형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아토 3(Atto 3)'의 국내 출시를 발표했다. 이로써 기아 EV3와 현대차 캐스퍼 일렉트릭이 이끄는 국내 전기차 시장에서 경쟁이 한층 치열해질 전망이다.

BYD는 2009년 첫 전기차 출시 이후 가성비를 앞세워 13년 만에 글로벌 전기차 시장 1위에 올랐다. 2022년에는 187만 대를 판매하며 테슬라를 추월했고 올해는 261만5000대로 테슬라(129만6000대)의 두 배에 달하는 판매량을 기록했다. 이러한 성장세는 유럽과 미국이 중국산 자동차에 대한 관세 장벽을 강화하려는 배경이 되고 있다.

이번에 국내에 출시되는 '아토 3'는 BYD의 해외 주력 모델로 지난해 중국을 제외한 글로벌 시장에서 약 10만 대가 판매됐다. 이는 BYD 전체 해외 판매량(24만2759대)의 41%에 해당한다.

미국 컨설팅 회사 알릭스파트너스(Alix Partners)가 발표한 중국 자동차 기업의 세계 시장 점유율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 자동차 기업의 세계 시장 점유율은 올해 21%에서 2030년 33%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는 전 세계에서 판매되는 자동차 3대 중 1대가 중국산 제품이 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KAMA)는 'BYD 일본 시장 현황과 국내 업계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일본 시장에서 BYD가 부진했던 사례를 감안할 때 한국에서도 초기 성과가 제한적일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다. /BYD 글로벌 공식 홈페이지

BYD의 한국 진출을 두고 초기 판매량이 부진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KAMA)는 'BYD 일본 시장 현황과 국내 업계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일본 시장에서 BYD가 부진했던 사례를 감안할 때 한국에서도 초기 성과가 제한적일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다. 다만 렌터카와 법인차 등 틈새시장을 공략해 국내 중견 3사(KG모빌리티(KGM), 르노코리아, 한국GM)의 경쟁력을 위협할 가능성도 제기됐다.

BYD는 일본 시장에서 판매 네트워크 현지화, 유명 배우 광고 섭외, 전기차 지원금 지급 등 공격적인 마케팅을 펼쳤지만 2년간 승용차 판매량은 3188대에 그쳤다. 올해 3분기 누적 판매량은 전년 동기 대비 96.6% 증가한 1742대를 기록했으나 연간 목표치인 3만 대에는 크게 못 미쳤다.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는 BYD가 일본 시장에서 겪은 부진이 한국에서도 반복될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이는 높은 자국산 점유율, 낮은 전기차 보급률, 그리고 중국산 제품에 대한 부정적 인식 때문으로 설명된다.

비야디 디자인 건물 사진 /BYD 글로벌 공식 홈페이지

전문가는 이에 대해 보급 이후 점진적으로 판매량이 늘어날 가능성을 제기했다. 이호근 대덕대 미래자동차학과 교수는 여성경제신문과의 통화에서 "한국 전기차 소비자들은 아직 중국산 전기차에 대해 신뢰 부족과 거리감을 느끼는 것이 사실"이라며 "다만 BYD는 가성비를 앞세워 현대차와 기아차는 아니더라도 중견 3사 제조업체에는 상당한 타격을 줄 수 있다"고 말했다.

이 교수는 "BYD가 국내 시장에서 어느 정도 보급되고 품질 이슈나 화재와 같은 문제 없이 안정적인 운영을 이어간다면 점진적으로 판매량이 증가하며 새로운 경쟁 구도가 형성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현대 기아차를 포함한 국내 전기차 제조업체들이 가격 경쟁력에서 밀리지 않기 위해선 차별화된 전략과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고도 제언했다. 이 교수는 "BYD의 가격 경쟁력은 현대기아차가 따라잡기 어려운 수준"이라며 "결국 국내 전기차 산업을 보호하기 위해 정부 차원의 보조금 지급 정책을 재정비하고 국산과 중국산에 차등 지급 방안을 마련하는 등 정책적 준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