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서 비만치료제 의료보험 적용 추진한다는데···실현 가능성 전망 엇갈려
바이든 정부 "정부 의료보험서 비만 치료 비용 지불" 차기 정부, 의료비 부담으로 제안 무효화 할 수 있어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가 비만 치료제를 의료보험에 적용하는 규정을 상정했다. 이에 위고비·오젬픽 등 고가의 GLP-1 계열 비만 치료제를 저렴하게 구입할 가능성이 생겼지만 의료비 부담으로 실현 가능성은 낮다는 지적이 나온다.
26일(현지시간) 외신들에 따르면, 바이든 행정부는 메디케어·메디케이드 가입 노인과 빈곤층 760만명에게 비만치료제 관련 보장을 확대하는 방안을 제안했다. 하비에르 베세라 미국 보건복지부 장관은 이번 조치를 "판도를 바꿀 만한 일"이라고 평가하며 비만으로 고통받는 수백만명의 미국인에게 희소식이 될 것이란 입장을 밝혔다.
백악관 관계자에 따르면 이 조치로 한 달에 1000달러의 비용이 발생하는 체중감량 약물에 대한 자기 부담 비용이 최대 95%까지 줄어들게 된다. 체질량지수(BMI)가 30 이상인 연방 의료보험 대상자는 비만 치료제 구입 후 혜택을 청구할 수도 있다.
현재 메디케어·메디케이드를 비롯한 미국 정부 의료보험은 비만 치료제로 쓰이는 '위고비·오젬픽(성분명 세마글루타이드)'와 '마운자로(성분명 터제파타이드)' 투여를 보장하고 있다. 하지만 모두 당뇨병에 한정되는 실정이다. 이번 조치가 시행되면 월 1000달러에서 1300달러에 달하는 고가의 비만 치료제를 저소득층과 노인들도 쉽게 이용할 수 있게 될 전망이다.
하지만 상당한 재정 부담으로 제안의 실현 가능성이 작다는 지적이 나온다. 의회예산국 분석에 따르면 메디케어에서만 2026년부터 2034년까지 350억 달러의 추가 지출이 예상된다. 아울러 제약업계에서는 국가 의료보험 체계에 비만 치료제가 포함될 경우 약제에 대한 제값을 받기 어려워져 반발이 예상된다.
위 제안을 차기 정부에서 받아들이지 않을 것이란 목소리도 나온다. 트럼프 당선자는 기업과 개인에 대한 감세를 내세우고 있어 복지 분야 등에서 연방 지출을 줄이겠다는 입장이기 때문이다. 특히 트럼프가 보건복지부 장관 후보자로 지명한 로버트 케네디 주니어는 비만 치료제 사용에 대해 반대 입장을 밝혔던 인사인 만큼 취임 즉시 바이든 대통령의 제안을 무효화 할 가능성이 있다.
AP통신은 "트럼프 본인은 비만 치료제의 보험 적용에 대한 입장을 아직 밝히지 않았지만 정부 지출을 줄이겠다는 기조에 맞춰 바이든의 제안에 반대할 가능성이 제기된 상황"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