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 있어도 결제 못하는 '현금 없는 상점' 고령층 불편 키운다
한은 경제연구원 금융통화연구실 보고서 발간 디지털 이해도 낮은 소비자 현금 이용 성향 강해
현금 결제를 받지 않는 상점이 늘어날 경우 현금 의존도가 높고 디지털 금융에 취약한 고령층 불편이 가중될 것이란 분석이 나왔다.
31일 한국은행 경제연구원 금융통화연구실은 'BOK 경제연구: 코로나19 팬데믹 기간중 디지털 이해도와 현금수요 간의 관계' 보고서에서 이같이 분석했다.
연구자들은 △한은 '지급수단 및 모바일금융서비스 이용 행태 조사' 자료 △지역별 사회적 거리 두기 단계 자료 △지역별 금융기관 점포와 현금자동입출금기(ATM) 분포 자료를 결합해 회귀분석을 실시했다.
또한 디지털 방식의 금융서비스 이용 시 느끼는 비효용 정도를 가늠할 수 있는 설문 문항을 이용해 소비자를 디지털 이해도가 높은 그룹과 낮은 그룹으로 분류했다.
분석 결과 디지털 이해도가 낮은 소비자는 코로나19처럼 비대면 결제방식이 외생적으로 강제되는 상황에서도 현금을 계속 이용하려는 성향이 강했다.
팬데믹 기간 중 디지털 이해도가 낮은 소비자가 휴대 현금을 줄일 확률은 평균 16%였다. 디지털 이해도가 높은 소비자(26%)보다 낮은 수준이다. 디지털 이해도가 낮은 소비자가 모바일 금융서비스 이용을 늘릴 확률은 32%로 디지털 이해도가 높은 소비자(46%)에 비해 14%포인트 낮았다.
시뮬레이션 결과 현금을 받지 않는 상점과 서비스가 늘어나면 디지털 이해도가 낮을수록 소비자 후생 감소가 더 클 것으로 예측됐다. 특히 여타 연령층보다 현금 의존도가 높고 디지털 이해도가 낮은 고령층의 소비자 후생 감소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경태 한은 경제연구원 금융통화연구실 과장은 여성경제신문에 "50대 미만은 보통 신용카드를 보유하고 있는데 고령층이 될수록 보유하고 있는 지급결제 수단 숫자가 줄어들고 70대 이상은 신용카드를 보유하고 있지 않은 경우가 많다"며 "기본적으로 결제 수단이 현금이나 체크카드인데 현금에만 의존하는 분들도 많기 때문에 후생 감소 폭이 큰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