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살 사망자의 2.3%만 센터 찾았다···대책 마련 시급
센터 수도권 집중, 지방은 부족 자살예방센터 방문 효과성 논란 정부 지원에도 센터 이용률 낮아
심리 부검 결과 복건복지부가 설립한 자살예방센터를 찾은 자살 사망자는 2.3%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31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백종헌 국민의힘 의원이 복지부 '자살예방사업' 자료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자료에 따르면 2015년부터 9년간 심리부검을 거친 자살 사망자 1099명 중 자살예방센터나 정신건강복지센터를 방문한 비율은 2.3%에 불과했다.
심리부검은 자살로 사망한 고인과 관련된 자료나 유가족 면담 등을 통해 자살 원인을 규명하는 절차를 의미한다.
자살 사망 3개월 전 심리부검 대상자가 사망 전 방문한 기관을 조사해 본 결과 555명이 병·의원, 금융기관, 법률 자문기관 등 기관을 방문했다. 이 중 중·장년층(35~65세)이 60.4%를 차지했다.
반면 3개월 전 어느 기관도 방문하지 않은 심리부검 대상자는 428명으로 청년층 비율이 38.1%로 가장 높았다.
자살예방센터는 우울증, 불안, 자살 충동 등을 겪는 사람들에게 상담 및 심리치료를 제공하기 위해 설립된 기관이다. 전국적으로 55개가 운영 중이지만 수도권에 집중되어 있다.
정부가 자살예방센터와 정신건강복지센터를 지원하고 있지만 이용률이 저조한 상황이다. 특히 자살예방센터는 서울, 경기, 인천 등 수도권에 몰려있다.
올해 9월 기준으로 경기에 32개소, 인천에 4개소, 서울에 2개소가 위치해 수도권에 전체 센터의 69.1%가 집중되어 있으며 자살예방사업 담당 인력 또한 경기, 서울, 강원 순으로 전체의 약 39%를 차지한다.
백종헌 의원은 “중·장년층을 포함한 전 연령대가 위급한 상황을 겪지 않도록 복지부와 협력해 자살예방센터와 정신건강복지센터 이용률을 높일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