멀지만 가깝게···노인들을 위한 스마트 케어

디지털 격차 속 노인 스마트 복지 스마트 돌봄, 실효성 확보가 과제

2024-10-29     김성하 인턴기자
스마트 워치 사용을 어려워하는 노인의 모습. 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한 AI 이미지임 /챗GPT

#은행 앱으로 송금하는 것도 못 하는데 스마트 복지는 무슨 헛소리에요. AI 돌봄 로봇이요? 휴대폰으로 문자 보내는 법도 몰라 자녀들이 도와줘요. 로봇을 어떻게 쓰나요 감히.

정부가 노인 복지에 AI 돌봄 로봇, 스마트워치 등 스마트 기기를 도입하면서 일명 '스마트 케어' 기술 활용도를 늘리고 있다. 다만 이에 익숙하지 않은 노년층의 현실을 외면한 정책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28일 통계청에 따르면 7월 기준 한국의 65세 이상 고령 인구는 약 1000만명으로 전체 인구의 19.51%에 달한다. 2025년에는 고령 인구가 20%를 넘으며 '초고령 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된다.

고령 인구 증가에 따라 노인들을 위한 복지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서울시는 만 65세 이상 시민들의 건강 관리를 위해 '손목닥터9988' 스마트 워치 무료 지원 사업을 진행 중이다. 심박수, 혈압, 혈당 등 건강지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해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로빈 ICT는 치매 노인과 독거노인을 위한 웨어러블 스마트워치를 개발해 GPS 기능으로 실시간 위치와 상태를 모니터링하며 위급 상황 알림 기능을 통해 빠른 대응을 돕는다.

지자체별로 AI 돌봄 로봇도 속속 등장하고 있다. 부산 금정구는 독거노인의 정서적 안정을 지원하고 긴급 상황 시 보호자에게 알림을 전송하는 AI 로봇을 운영 중이며 충남 계룡시 등 다른 지자체에서도 AI 로봇을 통해 일상 대화와 건강 상태 확인 등 돌봄 서비스를 강화하고 있다.

서울시는 11개 자치구 105개 경로당을 ‘스마트 경로당’으로 전환해 전기·가스·수도 제어와 화재·출입 감지 등의 스마트홈 기능을 제공한다. 태블릿, VR 기기, AI 스피커 등을 비치해 노인들이 디지털 기술에 쉽게 접근하고 지역 사회와 소통할 수 있는 공간으로 자리 잡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정상훈 서울시 복지정책실장은 "초고령 시대에 돌봄 영역에서 스마트 기술 도입은 필수적"이라며 "어르신들의 안전과 건강을 유지하고 풍요로운 여가생활을 지원해 건강한 노후생활을 돕기 위해 다양한 스마트 기기 지원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스마트 복지에 대한 실효성 의문이 제기된다. 

김정은 숭실사이버대 요양복지학과 교수는 여성경제신문과의 통화에서 "스마트 기기를 어르신들이 직접 사용하기엔 여전히 어려움이 크다"며 "스마트 기술이 도입되고 있지만 실효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된다"고 말했다. 

이어 "단순히 고급 사양의 기술만 도입한다고 노인 복지 문제 해결로 이어지진 않는다"며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한 제품 개발과 더불어 종사자 교육이 반드시 뒷받침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