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검 받으라니까 딴소리···민주당 韓 "특별감찰관은 동문서답"
"친한계 수정안은 논의 가능" 여지 남겨
더불어민주당이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가 김건희 여사 문제 해결 방안으로 추진하는 '특별감찰관 추천'에 대해 김건희 여사와 관련해 국민의 일관된 요구는 특검을 받는 것이라고 선을 그었다. 그러나 민주당은 '김건희 특검법'의 필요성을 재차 강조하면서도 친한동훈(친한)계 일각에서 거론되는 수정안도 논의할 수 있다며 여지를 뒀다.
박찬대 민주당 원내대표는 24일 국정감사 대책 회의에서 "김건희 여사와 관련된 국민의 일관된 요구는 특검을 받으라는 것"이라며 "적당히 사과하고 활동을 자제하고 인적 쇄신을 하고 적당히 특별감찰관을 임명해 해결하라는 것이 아니다"라고 밝혔다.
박 원내대표는 "피하지 않고 문제를 해결하겠다고 말한 한 대표가 김건희 특검을 반대한다면 비겁하다는 소리만 듣게 될 것"이라며 "민주당은 국감 이후 김건희 게이트의 진상을 끝까지 밝혀내고 김건희 특검을 반드시 관철하겠다"라고 말했다.
민주당이 한동훈 대표의 의견에 부정적인 이유는 특별감찰관은 강제 조사 권한이 없기 때문이다. 윤종군 원내대변인은 이날 기자들과 만나 "(특별감찰관 얘기는) 동문서답"이라며 "김건희 특검을 수용하라고 했는데 (이는) 특별감찰관으로 대체될 수 있는 의제도 아니고 수위도 아니다"라고 말했다.
다만 민주당은 한 대표 측이 김건희 특검법 수정안을 내놓으면 수사 대상과 특검 추천 권한 등을 놓고 협상할 수 있다고 밝혔다. 윤석열 대통령과 한 대표의 면담 이후 양측의 갈등이 심화하자 그 틈을 파고드는 것이다.
윤 원내대변인은 "한 대표 개인 입장이든 국민의힘의 당론 의결이든 특검안을 내주길 기대하고 있다"라며 "국민의힘이 안을 내놓으면 민주당 안과 병합 심사해서 수정안을 만들 수 있다"라고 말했다.
한민수 대변인도 전날 '김건희 특검법의 수정안을 협상할 수 있느냐'라는 기자의 물음에 "한 대표가 친한계 의원들과 특검법을 발의하면 논의해 보겠다"라며 "채 해병 특검법은 제3자 추천안을 얘기만 하고 발의하지 않았는데 (김건희) 특검법이 필요하면 20명 넘게 모였다던 친한계 의원들과 (법안을) 발의하라"고 말한 바 있다.
한 대표는 전날 "민주당 움직임과 상관없이 특별감찰관 추천 절차를 밟겠다"라고 밝혔다. 그는 확대 당직자 회의 머리 발언에서 김건희 여사 논란의 조속한 해소 필요성을 언급한 뒤 "우리는 특별감찰관 추천 절차를 진행하겠다고 국민께 여러 번 약속드렸다"며 "북한인권재단 이사 추천이 특별감찰관 임명 절차 진행의 전제조건이라는 것은 지금 상황에선 국민의 공감을 받기 어렵다. 민주당에 북한인권재단 이사 추천을 강력히 요구하고 관철하겠지만 특별감찰관 추천 절차를 그 이후로 미루지는 않겠다"라고 덧붙였다.
한 대표는 이날에도 특별감찰관 추천을 거듭 촉구하며 "당연한 말이지만 원내든 원외든 총괄한 임무를 당대표가 수행한다"고 말했다. 특별감찰관 추진은 원내 사안이란 어제 추경호 원내대표 발언을 반박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와 관련해 추 원내대표는 국정감사가 끝난 뒤 의원들의 의견을 듣기 위한 의원총회를 열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