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협 "의대 증원 2027학년도부터 논의해야"···수험생 혼란 가중

2024-09-08     류빈 기자
의대 정원 증원 저지 손팻말 든 의협 회원들 /연합뉴스

대한의사협회(의협)는 의료개혁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여당이 제안한 '여야의정 협의체'에 의료계가 참여하기 위해서는 2025년과 2026년 의대 증원 계획을 백지화하고, 2027년 정원부터 재논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입시업계에선 당장 9일부터 2025학년도 대입 수시 원서접수가 시작되기 때문에 증원 철회는 불가능하다는 입장을 내놓고 있다.

8일 의협 관계자는 "상식적으로 의대 정원을 급하게 늘리는 것은 문제고 정말 의대 정원을 늘리는 것이 합당하다면 2027년이나 그 이후부터 증원을 논의하는 게 당연하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 관계자는 "여야의정 협의체가 구성되면 적절한 의대 증원 숫자가 얼마인지를 논의하게 될 텐데, 논의 결과가 (입시에) 반영되려면 2025년과 2026년 의대증원은 일단 없던 일로 하고, 최소 2027년 정원부터 논의하는 것이 의미가 있지 않을까 싶다"고 덧붙였다.

의대증원을 일단 백지화한 후 2027년 정원부터 재논의하는 것이 여야의정 참여 조건이냐는 질문에 대해서는 "그렇다"고 답했다.

다만 의협은 이러한 조건을 정부나 정치권에 공식적으로 전달하지는 않았다.

이어 "단기간에 의대 정원을 늘리는 것은 말도 안 된다는 이야기를 사실 이미 여러 차례 했다"며 "정부 등에 이미 이러한 의협의 의사를 여러 번 알렸고, 의협뿐만 아니라 전공의 단체 등 여러 (의사) 단체가 비슷한 의견을 밝혔기 때문에 굳이 공식적으로 다시 의견을 전달할 필요는 없을 것 같다"고 말했다.

임현택 의협 회장은 전날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2025년 의대 정원 원점 재논의가 불가한 이유와 근거는 도대체 무엇입니까"라며 "의협은 의료대란 사태를 해결할 여야정에 합리적 단일안을 요구한다"고 밝혔다.

그러나 이미 대학 신입생 모집 일정을 진행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의협 측 주장은 현실성이 없다고 보고 있다. 정부·여당뿐만 아니라 야당인 더불어민주당도 2026년 의대 정원 재논의가 초점이다.

교육계에선 2025학년도 의대 정원 늘리는 것을 철회할 수 없다는 입장을 공고히 하고 있다. 교육부와 한국대학교육협의회(대교협) 등에 따르면 전국 의대 39곳 등 일반대 190여곳은 예정대로 오는 9일부터 2025학년도 대입 수시 원서접수가 시작된다. 이에 모집 인원을 변경한다면 큰 혼란이 벌어질 것이란 분석이다.

2025학년도 전국 일반대 신입생 모집인원은 34만6584명이다. 이 중 79.5%(27만5837명)를 수시 전형에서 모집한다. 의대의 경우 의학전문대학원인 차의과대를 뺀 39개교의 2025학년도 모집인원이 전년보다 1497명(48.1%) 늘어난 4610명(정원 외 포함)이다. 이 가운데 67.6%(3118명)를 수시에서 뽑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