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 연휴, 응급의료 지원 강화 방안 발표

의료 공백 차단 '비상응급 대응 주간' 운영 응급환자 진료 체계 개선 및 진찰료 인상

2024-08-28     천보영 인턴기자
28일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은 "9월 11일~25일까지 추석 연휴 동안 응급환자 진료에 차질이 없도록 '추석명절 비상응급 대응주간'을 운영한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정부는 추석 연휴 기간 환자가 몰리는 의료 공백을 막기 위해 추석 연휴를 '비상응급 대응 주간'으로 정해 이 기간 동안 응급의료 전달 체계 강화, 후속진료전원역량 강화, 응급실 전문의의 진찰료 인상 등 응급의료 지원을 강화할 계획이다. 

28일 '의사 집단행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회의에서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은 "9월 11일~25일까지 추석 연휴 동안 응급환자 진료에 차질이 없도록 '추석명절 비상응급 대응주간'을 운영한다"고 밝혔다. 408개 응급의료기관에만 적용되는 '응급 진찰료 한시 가산'을 112개 응급의료시설에도 확대할 예정이다.

비상 응급 대응 주간엔 응급실 전문의의 진찰료가 기존 150%에서 250%로 인상된다. 응급실 진료 후 수술, 처치, 마취 등에 대한 수가 가산도 150%에서 200%로 높여 중증 응급환자 수용 능력을 강화할 예정이다.

정부는 전국 29개 응급의료권역별로 최소 1곳 이상을 '중증 전담 응급실'로 운영하여 중증 응급환자가 적시에 진료받을 수 있도록 환자를 분산할 계획이다. 중증 전담 응급실에서는 한국형 중증도 분류체계(KTAS, Korean Triage and Acuity Scale) 1~2에 해당하는 환자만 진료한다. 중등증 이하 환자(KTAS 3~5)는 지역응급의료기관 및 거점이 아닌 지역응급의료센터에서 치료받을 수 있다. 평년(3600개)보다 많은 4천 개 이상의 당직 병·의원을 운영해 경증 환자 의료 접근성도 높인다는 방침이다.  

조 장관은 "권역센터의 안정적인 운영을 위해 인건비 지원을 확대한다. 9월부터 전원 환자 수용률 등을 평가해 우수 기관에 인센티브를 지급할 것"이라며 "인력 지원이 필요한 의료기관을 중심으로 군의관과 일반의, 간호사 등 대체 인력을 '핀셋 지원'할 방안도 추진하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