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시대적 대출비리에 이복현 발끈···임종룡 내부통제에도 칼 댄다
이복현 금감원장 "더는 신뢰하기 힘든 수준···사전적으로 인지했어야"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손태승 전 우리금융지주 회장 친인척 부당대출 의혹과 관련해 “우리금융이 보이는 행태를 볼 때 더는 신뢰하기 힘든 수준”이라고 질타했다. 임종룡 지주 회장을 비롯한 현 경영진의 내부통제 소홀을 겨냥한 작심발언으로 읽힌다.
20일 이 원장은 금감원 임원회의에서 “우리은행 부당대출 건은 제왕적 권한을 가진 전직 회장의 친인척에게 수백억원의 부당대출을 실행해 대규모 부실이 발생한 사안으로 은행 내부 시스템을 통해 사전적으로 인지했어야 한다”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사후적으로도 부당대출과 관련한 조직적인 문제가 있을 수 있다는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엄정한 내부감사 등을 통해 적극적으로 조치했어야 한다”고 비판했다.
이어 “기관 자체의 한계 등으로 문제점을 밝혀내지 못할 경우 계좌추적권, 검사권 등이 있는 금융당국이나 수사기관 등에 신속히 의뢰해 진상을 규명해냈어야 했다”고 지적했다.
임종룡 우리금융그룹 회장과 조병규 우리은행 장에게 이번 부당대출에 대한 내용이 보고된 시점은 지난 3월 중이었다. 앞서 우리은행은 부적정 대출을 확인하고도 금감원에 늦장 보고를 했다는 의혹이 제기되자 “‘심사 소홀로 취급여신이 부실화된 경우는 금융사고로 보지 않는다’는 당국 규정에 근거했다”고 주장했다.
이 원장은 “우리은행은 ‘친인척 대출에 대해 몰랐다’는 전직 회장의 발언을 옹호하면서 심사소홀 외에 뚜렷한 불법행위가 없었다며 금감원에 보고하지 않은 것을 합리화하는 행태를 지속했다”고 꼬집었다.
각 부서에 철저한 진상규명과 재발방지, 유사한 행태를 보이는 금융회사에 대해 시장에서 발을 못 붙일 정도로 강한 법적 권한을 행사하는 등 엄정한 잣대로 감독업무에 임해달라고 당부했다.
금감원의 ‘은행 대출취급 적정성 관련 수시검사 결과’에 따르면 우리은행은 2020년 4월부터 올해 1월까지 손 전 회장의 친인척을 대상으로 총 616억 원(42건)의 대출을 실행했다. 금감원은 해당 대출 건 중 350억 원(28건)은 대출심사와 사후관리 과정에서 통상의 기준 및 절차를 따르지 않은 부적정 대출이라고 보고 제재 절차를 진행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