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신영 더봄] 우주공학과 교수가 댄스스포츠를 하면 일어나는 일

[강신영 쉘위댄스] (57) 타다시 시오야 동경대 명예교수 스토리 댄스의 공학적 분석으로 댄스 위상 높여 80대 고령에도 여전히 댄스는 최애 취미

2024-09-01     강신영 댄스 칼럼니스트

시오야는 2003년 필자가 영국 런던에 국제댄스지도자협회 자격증을 따기 위해 갔을 때 댄스학교에서 만난 친구다. 당시 나이가 나보다 10살 많은 60세라며 국제댄스지도자 자격증 상급 과정을 따기 위해 혼자 왔다고 했다. 그때 받은 명함이 일본 동경대 우주공학부 학장이었다.

우리나라에서는 댄스에 대한 편견이 심해 댄스를 배우는 교수들도 그 사실을 숨길 때였다. 그래서 그가 당당히 대학교수 간판을 걸고 댄스에 몸을 담고있는 것이 한편으로는 부럽기도 했다.

나는 프로선수와 같이 왔고, 현지 거주 한국인 교포도 있어 심심치 않았으나 그는 숙소에서는 늘 혼자였고 혼자 라면을 끓여 먹는 등 외로워 보였다. 그래서 불러서 한식도 같이 먹으며 친분을 쌓았다.

그는 놀랍게도 1980년부터 동경대에서 댄스스포츠 동호회를 만들어 운영하고 있다고 했다. 우주공학과 댄스스포츠가 어떤 연관성이 있을까 궁금했는데 그는 공학자답게 관련 연구를 하고 있었고 댄스스포츠의 스포츠 과학성을 여러 편의 논문으로 입증해 냈다.

그는 80대 고령에도 댄스를 가장 중요한 취미로 유지하고 있다. /사진 제공=시오야

그는 현재 동경대 명예교수이며 최근 관련학계에서도 <볼룸 댄스에서의 리드와 팔로우의 역학 기초 모델>, <볼룸댄스에서의 신체의 상하 운동의 해석>, <볼룸 댄스에서의 신발과 플로어의 마찰 모델>, <볼룸 댄스에서의 좌회전과 우회전의 비교의 해석>, <볼룸댄스에서의 스윙 무브먼트에 관한 분석> 같은 우주공학자 풍의 논문집을 계속 발표하고 있다.

그의 논문은 복잡한 수학적 계산과 그래프까지 동원하여 전문적이다. 과학적 접근으로 쓴 세계 유일의 댄스 과학 논문들이다. 그래서 일본 댄스계에서 여러 기관에 관여하고 있다. 국제 자격증으로도 Fellow of ISTD (The Imperial Society of Teachers of Dancing)를 취득했으며, 일본 협회에서도 Fellow of NATD (The Nippon Association of Teachers of Dancing, Incorporated) 자격증을 취득했다.

댄스스포츠에 관한 그의 공학적 분석 논문은 세계적으로도 중요한 자료로 띄워줄 만하다. /사진 제공=시오야

그는 지금 80대 초반의 나이다. 한국에 종종 온다. 한번은 내가 추천한 피부과에 노인 점을 빼러 일부러 오기도 했고 대부분은 댄스파티에 참가하기 위해서 온다. 나이가 있어서 멋진 춤은 아니더라도 고급과정을 이수한 댄스 학자라서 정확한 춤을 춘다.

처음 만난 파트너라도 리드와 팔로우(Lean & Follow)를 제대로 해서 상대방이 편하게 느끼는 춤이 최고의 춤이라고 주장한다. 그런데도 몰라보고 노인이니 대충 춤 상대를 해주는 한국 여인들에게 그가 이런 사람이라고 하면 모두 놀람을 금치 못한다.

그가 댄스를 사랑하는 공학자이기 때문에 이런 논문집이 가능하다. /사진 제공=시오야

일본에서 댄스스포츠는 비교적 나이 든 사람들이 즐기는 춤이라고 한다. 한국처럼 어두운 질곡의 역사를 거치지 않았으므로 한국만큼 대중적인 편견은 없다. 한때는 최고의 댄스 대회인 영국 블랙풀 세계 댄스대회에서 상위권에는 못 올라가지만, 100위권에서 200위권은 대부분 일본 선수가 차지하고 있을 만큼 댄스의 위상이 높았다.

그는 선수로서의 댄스 대회 참가보다는 댄스 자체를 즐기는 편이다. 그러나 우주공학부 학장이 댄스동호회를 만들어 독특한 이론으로 댄스스포츠를 즐기고 그에 관한 공학적 분석을 끊임없이 연구해서 발표하고 있다는 것은 존경받을 만하다.

그는 지금 나도 관여하고 있는 한중일댄스스포츠연맹의 일본 측 중심인물이다. 한중일 3국 댄스인들이 모여 댄스파티도 하고 교류하기 위해서는 꼭 필요한 인물이다. 그를 여기 소개하는 이유는 일본 엘리트 교수가 80대 고령에도 불구하고 댄스스포츠를 가장 즐기는 취미로 여전히 즐기고 있다는 점 때문이다. 그러면서도 그의 공학적 이론에 바탕으로 한 댄스 관련 논문들은 누구도 시도할 수 없는 분야이고 고차원적이다. 덕분에 댄스의 위상을 높여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