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원전 이전만큼 수주 어려워···'정책 사각지대' 中企 어려움 호소

산업부, 원전 생태계 완전 정상화 점검 회의  2차관 "건의 사항, 원전산업 로드맵에 반영"

2024-07-11     유준상 기자
최남호 산업통상자원부 2차관이 지난 10일 서울 중구 온드림 소사이어티에서 열린 여름철 에너지절약 캠페인 출범식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내 원전 중소기업이 탈원전 이전만큼 일감을 수주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은 원전 대기업들이 일감 세부 계획을 공유해 중소·중견기업이 적정 투자 시점을 도출할 수 있도록 해달라고 한목소리를 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1일 서울 종로구 설가온에서 '원전 생태계 완전 정상화 추진 현황 점검 회의'를 열고 업계 현황과 건의 사항을 청취했다. 

산업부는 이 자리에 정책 사각지대에 있는 원전 기업들을 초청해 원전 생태계 복원 정책을 점검하고 보완할 사안을 논의했다. 회의에는 비에이치아이·국제전기 등 원전 중소·중견기업 9개사와 한국원자력산업협회, 한국원전수출산업협회, 한국수력원자력, 두산에너빌리티가 참석했다.

정부는 원전 생태계 복원을 위해 일감·금융·연구개발(R&D)·인력 등 전방위적 지원을 지속해 왔다. 이러한 노력의 결과로 최근 원전 산업계의 매출·투자·고용 등 주요 지표가 뚜렷한 개선세를 보였다. 하지만 탈원전 이전 수준만큼 일감을 수주하지 못하고 인력 채용에 애로를 겪는 등 정책 사각지대에 있는 일부 기업들은 여전히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이 자리에서 산업부는 그동안 정부가 원전 생태계 복원을 위해 일감, 금융, 연구개발(R&D), 인력 등 전방위적 지원을 지속해 왔으며, 이런 노력의 결과 최근 원전 산업계의 매출, 투자, 고용 등 주요 지표가 뚜렷한 개선세를 보인다고 평가했다.

산업부는 다만 이런 성과에도 불구하고 탈원전 이전만큼 일감을 수주하지 못했거나 인력 채용에 애로를 겪는 등 정책 사각지대에 있는 기업들이 있다며 이들 기업을 위한 추가 지원 정책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날 간담회에 참가한 기업들은 "한수원과 두산에너빌리티 등 원전 대기업의 일감 세부 계획을 공유해 중견·중소기업의 적정 투자 시점을 도출하고 수주계획 수립에 편의성을 제공해달라"고 요청했다. 

그러면서 "원전 생태계 퇴직자 활용 지원으로 최근 원전 업계 전반 인력수급 애로를 해소하고, 수출 관련 시장분석·전략 수립·인증취득 지원을 통해 중소기업 독자 수출을 확대해 달라"고 제안했다. 

산업부는 원전 생태계의 완전한 정상화를 위해 간담회에서 나온 내용을 바탕으로 추가 발굴·보완이 필요한 정책을 마련할 계획이다. 우선 이 자리에서 나온 업계 요청 사항을 '(가칭)원전산업 지원 특별법'에 반영하기로 했다. 

최남호 2차관은 "간담회에 참석한 한수원·두산에너빌리티에 일감 발주 세부 계획을 마련해 하반기 설명회 개최를 요청하겠다"며 "원전 업계 퇴직자 재취업 지원 확대, 수출 전략 마련 및 인증취득 지원 강화도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최 차관은 이어 "간담회에서 건의된 사항들은 연말 수립을 목표로 마련 중인 '2050 중장기 원전산업 로드맵'과 '(가칭) 원전산업 지원 특별법'에 반영하겠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