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등 SBI저축은행도 10년 만에 적자···저축은행 고정이하 여신 '비상'

자산건전성 기준 경영실태평가 당국 점검으로 '퇴출 우려' 고조

2024-06-19     김민 기자
업계 1위 SBI저축은행이 1분기 64억2900만원의 순손실을 기록하며 10년 만에 첫 적자를 기록하는 등 저축은행 업권이 전반적인 실적 부진과 건전성 위기를 겪고 있다. /연합뉴스

업계 1위 SBI저축은행이 1분기 64억2900만원의 순손실을 기록하며 10년 만에 첫 적자를 기록하는 등 저축은행 업권이 전반적인 실적 부진과 건전성 위기를 겪고 있다. 이에 금융감독원이 최근 건전성 지표가 악화한 저축은행을 대상으로 경영실태평가에 나섰다. 업계에선 저축은행 사태 당시 경영 실태 점검으로 시장에서 퇴출당한 회사들이 많았던 만큼 위기감이 높아지고 있다.

18일 금융당국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이 이달 말 부실 저축은행 3곳을 특정해 경영실태평가를 한다. 저축은행 대상 경영실태평가는 10여 년 전 저축은행 사태 이후 처음이다. 다만 평가 대상이 되는 저축은행은 중소형사 가운데 극소수에 그치는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당국은 자칫 뱅크런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로 평가 대상 저축은행에 대해서는 함구하고 있다.

이번 경영실태평가는 통상 적용됐던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기자본비율이 아닌 연체율 등 자산건전성 기준으로 대상을 선별했다. BIS 비율이 법정 기준인 7%(자산 1조원 이상은 8%)를 밑돌면 경영개선권고 대상이 된다. 전국 79개 저축은행의 BIS 비율은 지난 1분기에 모두 법정 기준을 웃돌았다. 

하지만 저축은행 연체율이 2021년 말 2.5%에서 올 1분기 말 8.8%로 수직 상승하며 건전성 부분에서 악화하는 모습을 보였다. 고정이하여신(부실채권) 비율이 10%를 초과한 저축은행도 전체의 절반을 넘는 46개에 달했다. 

당국의 경영실태평가는 은행권에 단순한 점검 이상의 의미가 있다. '적기시정조치'가 나올 수도 있기 때문이다. 적기시정조치란 건전성 지표가 나쁜 금융사에게 자산매각 등을 통해 지표를 끌어올리게끔 '적정한 시기에 시정' 기회를 주는 제도다. 주로 임직원 감봉, 점포 축소, 부실자산 상각, 주식 소각 등을 통해 건전성을 끌어올리게 한다.

적기시정조치는 통상 경영개선 권고→요구→명령 3단계로 진행되는데 2011년 저축은행 사태 때는 이례적으로 권고·요구 두 단계를 건너뛰고 곧바로 명령 조치가 나왔다. 명령 조치가 나온 대부분의 저축은행은 자구책을 마련하지 못해 사실상 퇴출당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자산건전성 문제로 경영실태평가에 들어가는 것이지만 자본 비율 자체는 안정적으로 관리되고 있기 때문에 자본을 통해 자산 건전성을 높일 개연성이 높다"며 "건전성을 높일 자구책이 확인되면 적기시정조치가 나올 가능성은 그리 높지 않다"고 말했다.

상호저축은행 감독규정에 따르면 금감원은 경영실태평가 결과 건전성이 악화할 우려가 있거나 경영상 취약부문이 있다고 판단되는 저축은행에 대해서는 지도·점검을 강화하고 필요시 경영개선계획을 제출받거나 경영개선협약을 체결할 수 있다.

평가는 자본 적정성, 자산건전성, 경영관리 능력, 수익성, 유동성 등을 부문별로 평가한 뒤 이를 종합해 1등급(우수), 2등급(양호), 3등급(보통), 4등급(취약), 5등급(위험) 등 5단계 등급으로 결과를 도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