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용 점수 낮으면 치매 걸릴 확률 높아진다··· 美 연구 결과 발표
연체 잦은 사람 '인지적 부주의' 확률 커
신용 점수가 낮으면 치매 걸릴 확률이 높아질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미국에서 나왔다. 초기 치매 환자는 최종 치매 진단을 받기 수년 전부터 신용 점수가 떨어지는 경향을 보인다는 것이다.
5일 미국 뉴욕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 of New York, FRBNY) 직원 보고서(STAFF REPORTS) 5월호에 따르면 미국 조지타운대 연구팀은 알츠하이머병 등으로 기억 장애를 앓는 환자는 질병 초기 단계부터 주택 담보 대출·신용카드 등의 연체율이 높아지면서 신용 점수가 낮아진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연구는 2000~2017년 FRBNY의 소비자 신용 데이터와 미국의 메디케어 수혜자 자료를 기초로 진행됐다.
이에 따르면 기억 장애 환자는 진단받기 전까지 평균 신용 점수가 꾸준히 하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단 전 3~5년간 신용 점수는 기준치보다 평균 1~2점이 낮았다. 2년 차에는 평균 2.7~3.7점 낮고, 진단 직전인 1년 차에는 평균 4점에서 6점 가까이 떨어졌다. 진단 후 7년간은 9점 이상 낮은 수준을 유지했다.
연체율도 신용 점수와 마찬가지로 질병 초기 단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됐다. 진단 3년 전 연체율은 기준치보다 0.37%포인트, 2년 전에는 0.61%포인트 더 높았다. 진단 직전인 1년간은 0.99~1.8%포인트 더 높았다. 진단 후 6개월이 지나면 연체율은 기준치보다 2.58%포인트 상승해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신용카드 평균 연체 잔액도 비슷한 유형을 보였다. 연체 잔액은 진단 전 21분기 동안 기준치보다 더 많았다. 진단 3년 전은 기준치보다 80달러, 2년 전에는 101달러 더 많았다. 1년 전에는 153달러 더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주택 담보 대출 연체 확률은 진단 전 최대 13분기까지 영향을 미쳤다. 진단 3년 전은 기준치보다 0.2%포인트, 1년 전에는 0.4%포인트 높았다.
연구팀은 연체가 질병과 연관된 인지적 부주의 때문일 수 있다고 짚었다. 또 기억 장애 진단을 받고 질병 말기로 갈수록 간병비나 생활비 등 환자의 재정 수요가 커질 수밖에 없지만 신용 점수 회복이 어렵다는 점을 우려했다. 이들의 신용도 하락이 고금리나 대출 장벽으로 이어져 재정적 취약성을 키울 수도 있다는 지적이다.
진단 후 연체율이 줄어드는 것은 가족 구성원 등 주변의 개입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진단을 통해 인지적 취약점이 드러나면서 재정적 의사 결정에 도움을 받는 계기가 되는 것으로 분석된다.
연구팀은 "신용 정보의 신호로 기억 장애 위험에 처한 사람들을 조기에 선별할 수 있다"며 "이 알고리즘 개발을 위해 신용 데이터에 머신러닝을 적용하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서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어 "동시에 기억 장애 초기 단계에 있는 개인에게서 관찰되는 신용 점수 하락 기저에 있는 메커니즘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