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지지율 하락에 당원 달래기···정책적 묘수로 돌파 고심
탈당 러시에 내부 동요 커 당원 표심 비율 높이기로 중도층 이탈 우려도 문제
더불어민주당이 국회의장 경선의 후폭풍으로 강성 당원들의 이탈이 우려되자, 이들의 목소리를 더 수용하려는 움직임을 가속화하는 모양새다. 우원식 민주당 의원이 추미애 당선인을 꺾고 국회의장 후보로 선출된 이후 당내 심상치 않은 기류가 감지된다.
강유정 민주당 원내대변인은 이날 22대 국회 당선인 워크샵 첫 번째 세션을 마친 뒤 기자들과 만나 “(이번 행사에서) 당원 민주주의에 대해서도 이야기를 나눌 계획”이라며 “당원 민주주의의 효능감을 느끼게 하겠다는 방향 설정”이라고 소개했다.
최근 당 위기는 야권 지지층이 주도해서 나타났다. 리얼미터가 에너지경제 의뢰로 지난 16~17일 전국 18세 이상 1001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여론조사에서 민주당 지지율은 34.5%를 기록하며 국민의힘(35%)에 추월 당했다.
일주일 전 민주당이 오차범위 밖에서 국민의힘을 앞섰지만 국회의장 선거를 치른 지난 16일 이후엔 민주당 지지율이 6.1%포인트 떨어진 것이다. 이날까지 민주당에 접수된 탈당 신청만 7000여 건에 달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민주당 지도부는 최근 국회의장 경선 과정을 거치며 당원들의 권리를 강화하고, 그 여론을 더 수용하려는 움직임을 보여왔다. 이재명 대표는 전날 당원들과의 난상토론 행사에서도 “대중정당·국민정당으로 가는 길, 직접 민주주의 확장의 길은 피할 수 없다”며 “(민주당을) 당원 중심 정당으로 개혁하는데 이론이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당원들에게 대의 민주주의의 한계를 논의해보자고 권고하기도 했다.
당 내에서는 당원들의 권한을 강화하고, 그 영향력을 키우는 각종 방안이 제시되고 있다. 현재 시·도당위원장 경선에서 대의원과 권리당원 투표 반영 비율을 50대 50으로 정했는데, 권리당원의 의사 반영 비율을 더 높이는 내용이 거론된다.
김민석 의원은 권리당원들의 의사를 10% 가량 반영해야 한다고 주장했으며, 장경태 의원은 20%를 제시했다. 양문석 당선인은 전날 50% 당심 반영을 주장했다. 반면 다른 민주당 관계자는 여성경제신문에 "당원 중심 정치가 자칫 강성 포퓰리즘으로 흐를 수 있다"고 우려했다.
민주당은 총선 이후 이념 선명성을 앞세운 조국혁신당에 밀리자 대신 정책적으로 기대에 부응할 필요성에 주목하는 모습이다. 윤종군 민주당 원내대변인은 기자들과 만나 “민주당은 ‘민주국회, 선도국회, 책임 국회, 원팀 국회’라는 4가지 국회 운영 기조를 정했다”며 “이를 바탕으로 시급한 민생 개혁 속도전 체제를 구축하겠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 10대 정책 입법 과제를 설정했다. 5대 민생 과제로는 △민생회복지원금 △민생회복 긴급조치 △물가안정 △주거안정 △양곡관리법 포함 거부권 행사한 민생 법안 재입법을 제시했다. 5대 개혁과제로는 △채상병 특검법 △김건희 여사 의혹 관련 특검법 △검찰개혁 △언론개혁 △국정조사를 추진하겠다고 했다.
22대 국회가 개원하면 중점적으로 추진할 민생·개혁 입법 과제도 논의했다. 민주당은 민생회복 법안과 국정기조전환 법안, 기본사회 법안을 각각 큰 축으로 하는 56개 세부 법안을 선정했다. 여기에는 온라인플랫폼법, 공공의대설립법 등 21대 국회 임기 만료로 폐기될 법안도 포함됐다.
또 ‘개혁기동대’라는 이름 하에 다양한 원내 기구를 운영하기로 했다. 최근 구성된 검찰개혁TF와 언론개혁TF, 정책대응TF 등이 여기에 포함된다. 민주당은 이날 워크숍에서 논의한 개혁 과제 등을 바탕으로 이튿날 22대 당선자들의 결의문을 채택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