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 영수 회담 D-1' 尹 대통령-이재명, '민생 협치' 발판 마련할까
尹 집권 2년 만에 이재명과 첫 만남 1시간여 의제 제한 없는 차담 형식 李 '민생 회복 조치·국정기조 전환' 집중
윤석열 대통령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간 첫 영수 회담이 하루 앞으로 다가왔다. 윤 대통령의 2022년 집권 이후 첫 회담으로 이 대표가 어떤 의제를 어느 정도 수위로 던질지 관심이 쏠린다.
28일 정치계에 따르면 영수 회담은 오는 29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1시간 정도 진행될 것으로 예상된다. 의제 제한이 없는 차담 형식으로 열린다. 민주당에선 진성준 정책위의장, 천준호 대표비서실장, 박성준 수석대변인이 배석한다.
이재명 대표는 "4·10 총선에서 압승한 제1야당의 대표로서 윤 대통령을 만나면 총선에서 드러난 민심을 가감 없이 전달하겠다"고 몇 차례 공언했다. 이 대표가 대통령실의 제안을 수용해 사전 의제 조율을 건너뛰고 '자유 회담' 형식을 수용한 만큼 윤 대통령에게 야당의 선명한 입장을 전달할 것이라는 관측이 당내에서 나온다.
자유로운 의견 개진이 가능하지만 오·만찬 형식에 비해 회담 시간이 그리 길지 않은 만큼 이 대표는 '백화점식' 의제 나열보다는 '선택과 집중' 전략을 취할 것으로 보인다.
민주당 관계자들에 따르면 이 대표는 최근 '민생 회복 조치'와 '국정기조 전환'을 양대 키워드로 삼아 회담 준비에 몰두했다고 전했다. 높은 물가 등 민생경제 상황이 심각하다고 보고 민생 이슈를 우선 언급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총선 당시 공약한 '전 국민 1인당 25만원 민생지원금 지급'을 강하게 요구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 대표는 '민생의 골든타임'을 고려해 지원금이 시급하다고 주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 대표는 윤 대통령에게 거부권(재의요구권) 행사 자제를 촉구하면서 각종 특검 수용을 촉구할 것으로 보인다.
민주당이 21대 국회 마지막 회기인 5월 임시국회에서 처리를 공언한 '해병대 채상병 사망사건 외압 의혹 특별검사법'(채상병 특검법) 수용을 요구할 방침으로 전해졌다. 이태원 참사 특별법과 방송 3법 등 윤 대통령이 거부권을 잇달아 행사한 데 대한 유감을 표명하거나 사과를 요구하는 방안도 검토된다.
이 과정에서 이 대표가 윤 대통령 면전에서 김건희 여사 문제를 직접 거론할지도 관심사다. 대통령이 거부권을 행사했던 '쌍특검법'(김건희 여사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의혹·대장동 개발사업 50억 클럽 뇌물 의혹 특별검사)이 지난 2월 말 국회 재표결 결과 최종 폐기됐기 때문이다.
앞서 이 대표 측은 회담 실무협의에서 '김건희 특검법'을 의제로 올리는 방안을 언급하기도 했다.
박성준 수석대변인은 서면 브리핑에서 "국민은 윤 대통령에게 국정기조 대전환을 요구하고 있다"며 "이 대표는 윤 대통령에게 이런 민의를 전할 것"이라고 했다. 이어 "이제 윤 대통령이 답할 차례"라며 "윤석열 정부를 향하는 각종 의혹을 해소하기 위한 특검을 과감히 수용하고, 민생법안에 대한 거부권 행사를 자제해 국회와 국민을 존중하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