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 채용 허용하면 뭐 하나···'정체성 없는' 우주항공청에 지원율 3.6%

예외적 외국인 공무원 채용에도 4.7%·3.4% 외국인 지원, 과장급 이상 10명·이하 28명 "마스터플랜부터 짰어야···급할 필요 없어"

2024-04-17     허아은 기자
2022년 11월 정부는 '우주경제 로드맵'을 발표하고 우주항공청 신설을 선포했다. 경상남도 사천시에 위치한 우주항공청은 5월 27일 개청을 앞두고 있다. 사진은 사천시청 전경 /사천시

우주항공청 채용 모집의 전체 지원자 중 외국인이 차지하는 비율은 3.6%인 것으로 드러났다. 정부는 우주항공청의 전문성을 보장하기 위해 예외적으로 외국인의 공무직 채용을 허용하고 미국과 프랑스의 주요 우주 개발 기관에 방문해 협력을 추진했던 바 있다.

17일 여성경제신문 취재를 종합하면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5월 신설을 앞둔 우주항공청의 인재를 모집하고 있다. 지난달에는 내국인을 대상으로 하는 선임(5급)·일반(6급, 7급)연구원의 일반임기제 공무원 경력경쟁 채용시험 접수가, 이번 달에는 프로그램장(4급) 이상(간부급) 18개 직위의 지원자 모집이 마감됐다.

지원 인원은 총 1047명으로 선임·일반연구원에는 835명이, 프로그램장 이상에는 212명이 지원했다.

이들 중 복수국적자를 포함한 외국인은 선임·일반연구원 지원자 중 28명, 프로그램장 이상 지원자 중 10명으로 총 38명이다.

따라서 전체 지원자 중 외국인 지원자는 3.6%를 차지했다. 직위별 지원자 중 외국인의 비율은 선임·일반연구원에서 3.4%, 프로그램장 이상에서 4.7%로 집계됐다.

이와 관련해 우주항공청 설립추진단 관계자는 프로그램장 이상에서는 212명 중 10명인 외국인 지원자 수가 적지 않다고 봤다. 관계자는 여성경제신문과 통화에서 "18개 직위에 외국인이 10명이면 작은 게 아닐 수도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

앞서 정부는 우주항공청의 전문성을 제고하기 위해 외국인 채용을 허용했다. 조성경 전 과기정통부 1차관은 지난 1월 미국의 항공우주청(NASA), 국가우주위원회(NSpC), 제트추진연구소(JPL)와 프랑스의 파리 유럽우주국(ESA), 국립우주센터(CNES), 엑소트레일(Exotrail) 등을 방문해 우주 협력 추진 방안을 논의하기도 했다.

16일 과기정통부 우주항공청 설립추진단은 프로그램장 이상 지원자(내·외국인 통합)와 외국인 선임·일반연구원 지원자 중 외국인의 비율이 15.8%라고 발표했던 바 있다.

한편 전문가는 우주항공청 설립추진단이 채용에 있어 다급했다고 지적했다. 청의 정체성 즉 '마스터플랜'을 먼저 짠 다음 채용에 나서야 했다는 거다. 황호원 한국항공대학교 항공우주정책대학원장은 본지와 통화에서 "정체성을, 뭘 할 건가를 정하고 거기에 필요한 사람을 뽑아야 하는데 1900몇 명을 한 번에 다 뽑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황 원장은 "사람을 먼저 뽑고 (그 사람들에게) 다른 일 맡기는 건 농구 선수 뽑아서 축구시키는 거랑 뭐가 다른가"라고 부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