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시원 청년도 1인 가구로"···통합위, 총선 앞 정책 지원사격
공동 주거모델 개발 '시니어 폴리스' 활용
대통령 직속 국민통합위원회는 5일 전입신고를 하지 않고 고시원이나 기숙사에 거주하는 청년도 1인 가구 정책 지원 대상에 포함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날 오전 서울 중구 중앙청년지원센터에서 열린 청년특위 정책 제안 발표 및 설명회에는 1인 가구 청년과 전국 200여 청년 지원센터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특위는 △안전한 생활환경 △안정적 경제기반 △고립·은둔 대응 △통합 지원체계 구축 등 4가지 정책 대안을 제시했다.
특위는 청년 1인 가구를 위해 공동 주거 모델을 개발·확산하고 1인 가구 밀집 지역에서 지역 내 퇴직공무원 등 중·장년으로 구성된 시니어 폴리스 활용을 제안했다. 또 주거지 탐색 및 주거 불편 해소를 위한 주거 관리 지원 서비스와 혼밥 문제를 해결할 동네 밥집 조성도 제안했다.
이어 지역 이주 청년 1인 가구 일·생활 서비스 연계망 구축 및 일 경험 프로그램 신설, 창업 실패 청년 등을 위한 재도전 지원도 제안했다. 아울러 교육·복지·고용 등 행정 데이터를 연계·활용해 고립 은둔 청년 조기 발굴 및 예방·치유 방안도 제시했다.
김한길 국민통합위원장은 "청년 1인 가구가 불안과 걱정 없이 더 나은 내일을 준비할 수 있도록 정책적인 관심과 배려가 필요한 시점"이라며 "이번 정책 제안이 현장에서 잘 실현되어 청년 세대가 마음껏 꿈을 펼칠 수 있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통합위는 전날에도 신혼부부를 위해 임대료 부담을 대폭 낮춘 '새가족주택' 제공과 중소기업에 다니는 청년에게 최대 2억원까지 전세 대출 제공 등 4·10 총선 직전 2030을 겨냥한 정책 제안에 나서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