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2000명 집착 방치 못해"···김윤 이어 이재명도 개입 선언 

400~500명 증원 제안 이어 두번째 메시지

2024-04-04     이상헌 기자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지난 3월 21일 오후 전북 군산시 옛 도심에서 연설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지지부진한 줄다리기가 이어지는 의정 갈등과 관련해 강력한 해결 의지를 드러냈다. 윤석열 정부가 2000명 증원이란 숫자 집착을 버리는 동시에 전공의들도 집단 행동을 멈추고 현장으로 돌아와야 한다는 취지다.

이재명 대표는 4일 오전 자신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통해 "(정부는) 2000명이라는 숫자에 대한 집착부터 버리고 합리적인 의대 정원 확대 방안을 내놓으시라"며 "더는 방치할 수 없다. 민주당이 나서겠다"고 밝혔다.

이 대표는 "의료대란이 장기화되면서 국민 피해와 환자들의 고통이 날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며 "심각한 문제는 국민의 안전을 수호해야 할 정부가 그 책임을 저버린 채 의료공백을 사실상 방치하고 있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윤 대통령을 향해 "정권이 사태를 해결할 의지도 능력도 없음을 다시 한번 확인한 시간이었다"며 "대화와 타협의 단초를 마련해 의료대란을 해결할 것이라는 일말의 기대는 깊은 실망과 의료 공백 장기화에 대한 국민의 걱정으로 되돌아왔다"고 비판했다.

또 의료계를 향해선 "즉시 현장으로 복귀해야 한다"며 "환자 생명을 볼모로 한 집단행동은 국민의 따가운 외면을 초래할 뿐"이라고 꼬집었다. 이 대표는 "총선이 끝나는 대로 여당과 협의해 국회에 '(가칭)보건의료개혁을 위한 공론화 특위'를 구성하고 의료 공백과 혼란을 종식시키겠다"며 "정부, 의료계뿐 아니라 여야와 시민, 환자 등 각계가 참여한 특위를 통해 사회적 합의를 이끌어내겠다"고 강조했다.

이 대표는 지난 2월 25일 윤 대통령의 의대 정원 증원에 찬성하면서 "의료 현장에서 현실적으로 수용 가능한 적정 증원 규모는 4~500명선"이라고 제시한 바 있다. 그러면서 "말로 해도 될 일에 주먹 쓰지 말자"며 "파업과 진압이라는 사회적 혼란 없이 얼마든지 대화로 해결 가능하다"고도 했다. 

더불어민주연합은 지난달 22일 의료개혁특별위원회 출범식을 가지고 보건의료 각 직역의 의료개혁 요구를 수렴하고 국민 중심 의료개혁을 위한 정책 공약을 개발해 나가기로 했다. 의료개혁특별위원회 상임공동위원장은 김윤·임미애·전종덕·허소영 더불어민주연합 비례대표 후보가 맡고 있다. 김윤 위원장은 의대 증원 논의를 민·의·당·정 4자 협의체를 구성한 2026년 입시년도 이후부터 논의를 진행하자고 제안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