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거날 MZ 놀러갈 때, 노인은 투표장으로···막판 변수 '연령별 투표율'

60대 이상 유권자 비율 31.4% 투표율 2030 대비 노년층 높아 여야 '실버 표심' 잡기 경쟁전

2024-04-02     이상무 기자
사전투표소에서 유권자가 투표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여야가 명운을 건 4·10 총선 표심 경쟁을 벌이는 가운데 초고령 사회에서의 '연령별 투표율'이 막판 변수로 부상했다. 이번 총선은 60대 이상 고령층 유권자가 20대와 30대 유권자를 합친 것보다 많을 전망이다.

2일 정치권에 따르면 현재 여야가 자체 판단하는 지역구 예상 판세는 대체로 민주당이 20석 이상 앞서는 양상이다. 254개 지역구에서 국민의힘은 '80~90석', 더불어민주당은 '110곳+α''석을 대략을 예상한 것으로 전해졌다. 

KBS가 지난달 24〜26일 전국 유권자 3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에서도 여야 지역구 후보 지지율은 민주당 40%, 국민의힘 33%로 각각 나타났다. 자세한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야당이 앞서는 이유는 대통령과 여당 지지율이 30%대 박스권에 머문 상황에서 정권 심판론 바람이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여론조사는 유권자 전체를 모집단으로 삼는 반면 실제 투표한 유권자가 승패를 결정 짓는다. 이 때문에 야당 압승을 단언하기 어렵다는 관측이 나온다. 막상 공휴일인 선거날 야권 지지 성향이 강한 2030 세대가 투표를 안 하고 60대 이상의 여권 지지층이 적극 투표하면 지지층 결집 효과가 판세를 바꿀 수 있다는 분석이다.

행정안전부의 ‘2023년 주민등록 인구통계’에 따르면 올해 총선 유권자 4438만여 명 중 60대 이상 고령층 비율은 31.4%를 기록해 20·30대 청년층(28.8%)을 사상 처음으로 추월했다. 18·19세(2.3%) 유권자까지 합쳐도 40대 미만 청년층 비율은 31.1%에 그쳐 60대 이상보다 적다. 60대 이상 유권자 비율이 30%가 처음으로 넘는 총선이라는 게 특징이다.

그동안 선거에서 고령층의 투표율은 높았다. 2020년 21대 총선 연령별 투표율은 20대(58.7%)·30대(57.1%)였다. 반면 60대(80%), 70대 이상(78.5%)으로 약 20%포인트 정도 높았다.

2022년 20대 대선에서도 20대와 30대의 투표율은 각각 71%, 70.7%였는데 60대와 70대 투표율은 이보다 높은 87.6%, 86.2로 집계됐다.

전문가는 여론조사 결과와 다른 개표 결과가 나올 수 있다고 전망했다. 황태순 정치평론가는 여성경제신문과 통화에서 "투표율이 2030 세대가 낮고 6070 세대가 높은 건 늘 그래왔던 것"이라며 "선거 막판 민주당에서 양문석, 공영운, 박은정 등 후보의 악재들이 터져나와 중도층이 많이 흔들리게 됐다. 최종적으로 결심을 못하고 충성도가 떨어지는 스윙보터들에 영향을 줘서 뚜껑 열어봐야 아는 것"이라고 말했다.

민주당은 투표율이 변수라는 점을 유념하고 있다. 김민석 총선 상황실장은 지난달 26일 선대본부장단 회의에서 “수도권, 충청, PK(부산·울산·경남) 이런 곳에서 백중세 지역이 너무 많아 어느 쪽으로 갈지 예측이 어려운 측면이 있다”며 “투표율이 일정 수치를 넘지 못하면 지지층 결집 위력을 발휘하지 못해 결과를 예측하기 어려운 만큼 투표율이 더 중요하다”고 말했다.

민주당이 발표한 '기본사회 5대 공약'에는 전통적 지지층과 더불어 노년층까지도 겨냥한 공약이 담겨 있다. △출생 기본소득 △기본주택 △대학 무상교육 △간병비 건강보험 적용 △어르신 하루 한 끼 지원 등이 골자다.

국민의힘도 고령화로 늘어난 '실버 표심'을 잡기 위해 '간병비 급여화'와 '경로당 무료 점심 제공' 공약을 내걸었다. 경로당 무료 점심 제공은 민주당의 5일보다 많은 7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