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표 공천이 먼저···준연동형 vs 병립형 확정 늦어지는 이유
李측근 김영진 라디오 출연해 입장 정리 정청래·김어준의 난 당원 투표 선 긋기 공천 일단락된 뒤 2월 임시회에서 처리
더불어민주당이 '준연동형 유지'와 '병립형 회귀'를 둘러싼 당내 소란에도 불구하고 확정을 늦추는 데엔 이재명표 공천 완성이 먼저라는 전략이 깔린 것으로 분석된다.
30일 정치권에 따르면 민주당 공직선거후보자 추천관리위원회의 후보자 적합도 조사가 이날로 마무리됐다. 면접까지 고려하면 내달 5일부터 1차 예선을 통과한 후보들이 발표된다. 재심 등을 거쳐 설 연휴 다음 주인 15일부터 최종 후보를 결정하기 위한 2차 예선인 경선이 시작된다. 한동훈 체제의 국민의힘이 이날부터 다음 달 3일까지 후보 접수를 진행하는 것에 비해 다소 빠른 템포다.
이재명 대표의 측근 김영진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이날 오전 MBC 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 출연해 선거제 확정 시기를 2월 임시국회 중으로 내다봤다. 김 의원은 "후보자 공천 및 경선을 하는 데 지장 없는 시점에 결정되지 않겠느냐"며 "4월 10일 총선에 지장이 안 되는 범위 내에서 결정하고 본회의 의결하지 않겠나"라고 전망했다.
민주당은 현재 총선에 적용할 선거제 당론을 결정하지 못한 상태다. 진성 당원들과 현역 의원 다수가 준연동형 유지에 마음을 굳힌 가운데, 최근 친(親) 양정철 성향의 정청래 의원이 김어준의 유튜브에 출연해 병립형 회귀 주장을 꺼내 들었다. 이에 설왕설래가 오가고 있지만, 선거제 확정이 급한 것이 아니라는 것이 전반적인 당내 분위기다.
국회 의석 과반을 가진 민주당이 당론을 먼저 정해야 여야 간 협의가 가능하다. 이런 상황에서 이재명표 공천을 마무리하는 것이 우선이라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국민의힘과 절충점을 찾지 못하는 선거구 획정 문제는 시간을 끌 수 있는 하나의 명분이다.
김 의원은 "선거제와 선거구 획정 문제가 복합적이라 여야 간의 합의 지점이 어렵다"며 "특히 선거구 획정에서 국민의힘에서는 자기가 유리한 지역은 절대 줄이지 못한다. 민주당도 왜 우리만 줄여야 되느냐라는 상대성의 논리를 가지고 논쟁 중이기 때문에 시간이 걸릴 듯하다"고 설명했다.
또 정청래 민주당 최고위원이 병립형 회귀를 주장하며 전 당원 투표를 주장하는 것에 대해선 "당에서 12월 말에 선거제 관련 여론 수렴 작업을 했다"며 "국민 여론조사와 당원 여론조사도 진행했기 때문에 또다시 전 당원 투표까지 할 사안은 아니라고 본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