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 응급헬기 호출자 색출하라'···권익위 공문 남발, 부산의대 곤혹

'병원 간 전원 규정' 따져야 할 기관이 범인부터 잡겠다고 도처에 공문 뿌려

2024-01-18     이상헌 기자
지난 2일 서울대병원으로 이송된 이재명 대표를 관계자들이 응급실로 옮기고 있다. /연합뉴스

국민권익위원회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응급상황에서 이용한 헬기 호출자 색출에 돌입하면서 부산대병원이 곤혹스러운 처지가 됐다. 병원 간 전원(轉院)에 대한 규정부터 살펴봐야 할 기관이 헬기 호출자 찾기에만 몰입해 조사가 용두사미가 되어간다는 지적도 나온다.

18일 부산대 의대 한 관계자는 여성경제신문과의 통화에서 "권익위가 소방 헬기 호출자를 찾겠다며 각 파트에 공문을 보내며 괴롭히는 중"이라며 "이번 사태의 본질을 여전히 이해하지 못하는 모습"이라고 전했다.

권익위는 앞서 이재명 대표가 지난 2일 부산에서 흉기에 피습된 뒤 1차로 이송된 부산대병원에서 응급 헬기를 이용해 서울대병원으로 전원한 것이 부정 청탁(김영란법 위반)이라는 신고를 받고 조사에 착수했다.

정승윤 권익위 사무처장은 16일 기자회견에서 "부정 청탁과 특혜 제공 여부를 조사해달라는 여러 건의 신고가 권익위에 접수됐다"며 "관련 법령에 따라 공정하고 투명하게 사실관계를 확인할 예정"이라고 밝힌 바 있다.

다만 의료계 안팎에선 응급헬기 호출자에 맞춰진 권익위의 조사에 대한 볼멘 목소리가 높다. 이 관계자는 "부산대 입장에서는 안 가는 게 옳지만, 어차피 가기로 결정되었으면 빨리 보내는 것이 답이었다"고 강조했다.

본지는 지난 8일 [깐팩] 이재명 헬기 서울대 병원 수송 복지부 지침 따라 제하의 보도를 통해 이 대표의 병원 간 이송 과정에서 보건복지부의 '응급의료 전용헬기 운용 세부지침'에 위배되는 상황이 없음을 밝혔다. 하지만 의료지식이 부재한 일반인(가족과 천준호 비서실장)이 응급컨트럴타워 역할을 하며 전문가 다수 의견에 반하는 결정을 내린 것은 '옥의 티'라고 지적한 바 있다.

정리=여성경제신문

당시 상황을 종합하면 이 대표 전원을 위해 서울대병원에 첫 연락을 한 사람은 천 실장이었다. 이어 동아일보 9일 단독 보도를 보면 천 실장은 2일 오전 11시 53분경 본인의 휴대폰에 저장된 서울대병원 응급의학과 S 교수에게 직접 전화를 걸었다.

천 실장의 전원 요청에 따라 응급 수술이 가능한지 알아보는 과정에서 헬기 이송 이야기가 나왔고 S 교수가 헬기 이송을 먼저 제안했다는 것이다. 이후 천 실장이 김영대 부산대병원 권역외상센터장에게 전화를 바꿔주며 병원 간 전원 합의가 이뤄졌다.

응급환자로 부산대병원에 내원한 이재명 대표에 대한 병원 간 전원을 청탁이나 특혜로 몰아가려는 음모론자들의 정치적 의도에 권익위가 휘둘리는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 민주당은 오는 22일 정무위원회 전체회의를 열어 관련 내용을 질의할 방침이다. 아울러 행정안전위원회도 25일 윤희근 경찰청장, 부산경찰청장, 대테러 센터장 등을 불러 전체회의를 개최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