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가구 중 1가구는 독거노인···"월평균 140만원 지출"
2050년엔 전체의 절반 소득에 연금·용돈 비중 커
고령화에 따라 한국 10가구 중 1가구는 65세 이상 노인이 혼자 사는 가구인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 가구 절반은 무직이었다.
24일 통계청이 발표한 '가계동향 조사를 통해 본 노인가구 소득과 지출의 변화'에 따르면 지난해 전체 가구 대비 고령자 1인 가구 비율은 8.7%였다. 2012년 5.9%에서 10년 사이 2.8%포인트 상승했다.
실제 국내에서 고령자 가구(가구주 연령 65세 이상)는 빠르게 늘고 있다. 통계청의 '2023 고령자 통계'를 보면 고령자 가구는 올해 549만1000가구로, 전체 가구의 25.1%에 달했다. 2003년 발표를 시작한 이래 꾸준히 증가한 고령자 가구는 2050년엔 전체 가구의 절반(49.8%)에 달할 전망이다.
문제는 노인가구 가구주 중 절반(49.9%)이 무직이라는 점이다. 노인가구 외 가구주가 무직인 경우는 11.3% 수준이었다.
지난해 4분기 노인가구의 월평균 근로소득(44만6000원)은 그 외 가구(365만7000원)의 8분의 1에도 못 미쳤다. 전체 소득은 236만7000원이었으며, 이 중 공적연금·기초연금과 함께 자녀들로부터 받는 용돈 등으로 들어오는 이전소득(110만5000원)이 46.7%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노인가구 월평균 지출은 140만2000원이었다. 그 외 가구(288만4000원)의 절반도 못 미치는 금액을 쓰는데, 대부분의 지출은 생존과 직결된다. 실제 노인가구는 매월 △식료품·비주류음료(35만4000원) △보건(25만3000원) △주거·수도·광열(24만2000원) △음식·숙박(12만7000원) 등에 월 소득의 60% 이상을 쓰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은 "노인 가구의 소비 여력이 다른 가구보다 부족해 생활에 반드시 필요한 음식과 주택, 의료 서비스를 제외한 품목의 지출은 여타 가구에 크게 못 미치는 모습"이라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