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Z 의대생·전공의도 의협 투쟁 동참···9·4 의정합의 이행 요구

총파업 반발 심리 유도하려다 역공 제19차 의료현안협의체 대화 관심

2023-11-28     이상헌 기자
서울 시내 한 의과대학 입구 /연합뉴스

의과대학생들과 의학전문대학원생들이 정부의 의대증원 정책에 반대 입장을 밝혔다. 대통령실 이관섭 국정기획수석, 안상훈 사회복지수석까지 공론장으로 투입해 정원 확대 여론을 조성하면서 대한의사협회의 총파업 움직임을 견제하려던 윤석열 정부가 역공에 직면한 것이다.

28일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 학생협회(의대협)는 성명문을 내고 "정부는 의학교육의 현실을 직시하고 학생과 소통하라"며 "교육을 위한 기본적인 인프라와 재정이 확보되지 않은 채 의대 정원을 확대한다면 교육의 질이 심각하게 저하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정부가 독단적인 정책을 강행할 경우 9·4 의정합의 위반으로 보고 대한의사협회가 구성하는 의대증원 저지 비상특별대책위원회에 참여할 의사도 전했다. 이들은 "정부가 일방적으로 추진하는 의대증원 정책은 의학교육의 파멸을 야기할 것"이라며 "지난 25일 열린 의대협 임시총회에서도 전국 의대생 대표들은 증원 수요조사 과정에서 벌어진 비민주적 절차에 분노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정부가 독단적인 정책을 강행할 시 절대 좌시하지 않겠다"고 했다.

의대협은 "의학 교육은 강의실을 짓는다고 끝나는 게 아니"라면서 "양질의 의학교육을 보장하지 않은 채 의사 수 늘리기에만 급급하다면, 그 피해는 고스란히 미래 환자들에게 돌아간다"고도 지적했다.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에겐 "그저 면허를 소지한 의사를 공장처럼 찍어내는 게 목표인가"라고 따져 물었다.

한편 이필수 비상대책위원장, 최대집 비대위 투쟁위원장 체제로 조직을 재편한 의협은 양동호 협상단장을 중심으로 복지부와 의료현안협의체 대화는 이어 나가기로 하고 29일 '제19차 의료현안협의체 회의'를 개최한다. 지난 22일 열린 제18차 의료현안협의체는 의협 측이 의과대학 증원 수요조사 결과 발표에 불만을 표시하면서 퇴장, 회의가 파행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