벼랑 끝 한전 대수술···한전KDN·전력기술 민영화 가능성↑
본사 기능 정예화 골자로 하는 '조직 개편' 김동철 직할 준법경영팀으로 카르텔 혁파
벼랑 끝 한국전력이 대수술책을 내놨다. 본사 조직을 20% 축소하고 외환위기 당시의 구조조정에 버금가는 조직 개편을 단행한다. 이 밖에도 자회사인 한전KDN 코스피 상장과 지분 매각을 통한 민영화 가능성도 내비쳤다.
8일 한국전력은 지난 2001년 발전사 분사 이래 최대규모 조직개편안을 발표했다. 지난 6월 반기보고서 기준 한전의 부채 총액은 201조4000억원에 달한다. 2021년 말과 비교해 1년 6개월 만에 늘어난 부채만 56조원이다. 탈원전 정책과 신재생에너지 보급 과정에서 발생한 비용을 전기요금에 반영하지 않는 역마진 구조가 빚더미를 키운 것이다.
이에 한전은 25조7000억원 규모의 재정건전화계획 목표를 세우고 조직을 축소하고 핵심 기능을 강화하는 방안을 발표했다. 먼저 본부장 직위 5개 중 2개를 축소해 본사 조직 20%를 줄인다. 아울러 8본부 36처를 6본부 29처로 재편해 2개 본부 7개 처를 축소하고 상임이사 중심의 책임경영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조직개편의 골자는 유사 기능 통합과 비핵심기능 폐지를 통한 본사 기능의 정예화(精銳化)다. 한전 관계자는 "현장 중심의 사업소 기능을 강화해 사장 직할에 준법 경영팀을 신설해 내부 부조리를 예방하고 이권 카르텔을 원천 차단할 방침"이라고 설명했다.
공공기관 혁신계획에 따라 2023년 1월 감축한 정원을 초과하는 488명을 연말까지 해소하기 위해 희망퇴직도 시행한다. 디지털 서비스 확대와 설비관리 자동화로 오는 2026년까지 700명 수준의 운영 인력을 추가로 줄일 계획이다. 2직급 이상은 2024년 임금인상분 전액 반납을 통해 책임 있는 자세로 위기 극복에 앞장서기로 했다.
한전의 상징적 자산인 인재개발원 부지도 매각한다. 서울특별시 서초구 남부순환로에 위치한 해당 부지 규모는 64만㎡에 달한다. 매각 시기는 대체 시설 확보 및 자연녹지 용도 상향 방안과 함께 부지 내 연구용 원자로 해체, 154kV 지중송전선로 이설 계획이 완료되는 대로 진행할 예정이다.
자회사인 한전KDN 민영화 복안도 드러냈다. 한전KDN은 한전과 산하 5개 발전공기업, 한국수력원자력의 전력 시스템을 관리해 오고 있다. 한전은 우선 KDN의 매각가치 제고를 위해 국내 증시 상장을 통해 보유지분 100% 중 20% 매각을 추진키로 했다. 아울러 필리핀 칼라타간 태양광사업 보유 지분 전량(38%)을 판다. 다만 이번 발표엔 이미 코스피 시장에 상장된 한국전력기술 지분 67.8% 처리 방안은 담기지 않았다.
한전은 이번 자구 대책의 차질 없는 이행과 내부 혁신을 위해 비상 경영·혁신위원회를 동시에 출범했다. 김동철 사장은 "한전의 재무위기는 기업으로서 버티기 어려운 재무적 한계치에 도달했다"며 "기존의 자구 대책에 더해 이번 특단의 자구 대책도 가용한 모든 역량을 쏟아 절체절명의 위기를 극복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