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50년, 세계 인구 4명 중 1명은 아프리카인···저출생 속 '역주행'
청년 인구 미국·인도·중국 대비 10살 차이
전 세계적인 저출산 기조 속에서 아프리카인만 인구가 증가세인 것으로 나타났다. 오는 2050년이면 세계 인구 4명 중 1명이 아프리카인이 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28일 뉴욕타임스 보도에 따르면 25년 내 아프리카의 인구가 현재의 두 배로 증가해 25억명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같은 인구 변화 추세가 아프리카와 세계 각국 간 관계에 중요한 변화를 가져올 것이라고 뉴욕타임스는 보도했다.
현재 아프리카에서는 청년 인구가 급증하고 있고 25년 뒤에는 전 세계 15~24세 연령대 중 약 3분의 1이 아프리카 출신으로 전망된다. 현재 아프리카 대륙의 중위 연령은 19세로 어린 편이며, 이에 비해 인도의 중위 연령은 28세, 미국과 중국은 각각 38세다.
1950년에는 아프리카의 인구가 전 세계 인구의 8%에 불과했지만, 100년 만에 이 숫자가 세 배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뉴욕타임스는 또한 10년 내 아프리카의 15~65세 연령대의 생산 인구가 10억명을 넘어설 것으로 예측했다. 아프리카는 인도와 중국을 넘어서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은 노동력을 보유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다만 이로 인한 실업 문제도 우려되는 상황이다.
‘넥스트 아프리카’의 저자 오브리 흐루비는 뉴욕타임스와의 인터뷰에서 "기후변화 다음으로 아프리카의 실업 문제가 현재 시대의 주요 과제가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1970년대와 1980년대에는 한국, 중국, 일본과 같은 국가가 산업화를 통해 이러한 문제를 해결했지만, 아프리카 대륙의 대부분 국가는 이를 실패하였으며 아직까지도 성장 가능성이 불분명한 상황이라는 설명이다.
장하준 런던대 동양·아프리카대(SOAS) 교수는 "1960년대 한국도 현재의 아프리카 국가들과 비슷한 어려움을 겪었으며, 아무도 한국의 성장 가능성을 진지하게 고려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이어 "시간과 노력이 있다면 놀라운 변화가 가능하며, 비전을 가진 지도자와 교육, 현명한 정책, 추진력, 그리고 혁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