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관, '아들 학폭 의혹' 野 질의에 "솔직히 CCTV도 없고"

방통위원장 후보자 국회 인사청문회 언론 장악 의혹엔 "보고받은 적 없어" "포털 스스로 사회적 책임 다해야"

2023-08-18     이상무 기자
 이동관 방송통신위원장 후보자가 18일 국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 참석해 있다. /연합뉴스

여야는 이동관 방송통신위원장 후보자 인사청문회에서 이 후보자 자녀 학교폭력과 언론 장악 의혹을 두고 공방을 벌였다.

18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의에서 이 후보자는 아들의 학폭 이력에 대한 서동용 민주당 의원의 질문을 받고 “알고 있는 범위에서 갈취나 휴대전화를 빼앗았다는 내용은 사실이 아닌 걸로 알고 있다”고 답했다.

“아들의 거짓말 가능성은 없는가”라는 서 의원의 질의에 이 후보자는 “열 차례를 불러 물어봤다”며 “솔직히 아무도 그 현장을 본 사람이 없다. CCTV가 있는 것도 아니다. 그렇다면 피해를 입었다는 학생의 진술이 제일 중요한 것이 아닌가”라고 반문했다.

“폭력 사실을 인정하는가”라는 장경태 민주당 의원의 질의에 이 후보자는 “일부 있었겠죠. 그러나 그 내용을 제가 어떻게 압니까”라고 되묻기도 했다.

홍석준 국민의힘 의원은 "당시 학생들이 화해했기 때문에 문제가 없었고, 학생들이 친구가 강제 전학하는 것을 강력하게 반대한 것으로 안다"며 "이 후보자가 압력을 행사해 학폭위를 열리지 않게 했다는 것은 아무래도 사실이 아닌 것 같다"고 말했다.

이에 이동관 후보자는 "언론을 통해 (진술서 내용을) 뒤늦게 봤고, 아들한테 사실을 물어봤다. 10차례 불러서 물어봤다"면서 "제가 아는 범위에서는 갈취나 휴대전화를 뺏거나 하는 것은 사실이 아닌 것으로 알고 있다"고 답했다.

민주당은 이 후보자가 이명박 정부 청와대 대변인과 홍보수석비서관으로 재직할 당시 언론 장악을 주도했다며 집중 공세를 폈다.

고민정 의원은 '라디오 시사프로 편파방송 실태 및 고려사항' 등 국정원 작성 문건을 보이며 "1000페이지 넘는 분량 중 이동관 당시 청와대 홍보수석이자 대변인에게 보고했거나 요청했던 문건이 30여건 발견됐고, 실제 실행이 확인된 게 9건 정도 확인됐다"고 주장했다.

이에 이 후보자는 "저는 지시하거나 보고받은 적 없다"면서 "제가 (언론 사찰에) 관여했다면 (문재인 정부) 엄혹한 적폐청산 수사에서 살아남을 수 있었겠나"고 반문했다.

김영식 국민의힘 의원은 "문재인 정부에서 언론 노조는 정치적 중립과 독립이라는 명분을 내세워 MBC와 KBS를 장악했다"며 "공영방송인 KBS와 MBC가 공공성과 공정성을 무시한 채 정치적 편향성을 갖고 보도하고 있다"고 역공했다.

한편 이 후보자는 이날 모두발언에서 "뉴스를 포함한 대부분 정보가 포털을 통해 제공되고 있다"며 "이런 상황을 반영, 신뢰성과 투명성을 제고하기 위한 법·제도 개선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포털 스스로도 사회적 책임을 다해야 할 것"이라며 "가짜뉴스 등 불법정보로부터 이용자 보호를 강화하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