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잼버리 국정조사 우리가 감시하겠다"···청년공인회계사 나섰다
황병찬 회장 자발적 봉사 참여 예고 외유성 출장은 '빙산의 일각'일 뿐 복잡한 자금 흐름 전부 따져보겠다
잼버리 사업 비리 의혹은 빙산의 일각으로 국정조사를 비롯한 감찰 및 감사 과정에서 지금까지 정치권과 유착 관계가 없는 민간의 공인회계사를 반드시 투입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11일 청년공인회계사회는 "투명하고 철저한 감사를 위해 사업 감사에 민간 전문가가 반드시 투입돼야 한다"며 "강한 사회적 책임 의식으로 자발적 봉사에 참여하겠다"고 밝혔다.
황병찬 회장은 이날 성명문을 통해 "1000억원이 넘는 규모의 후진국형 부패가 아직도 대한민국에서 발생할 수도 있다는 것에 큰 유감을 표한다"며 "공정한 회계감사가 진행될 수 있도록 목소리를 높여야 하는 시점"이라고 말했다.
이어 "현재 언론은 해외 출장 등의 단순한 비리 의혹에 집중하고 있지만 이는 빙산의 일각일 수 있고 감사 기술을 통하여 사용내역 등을 철저히 감사하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규모가 큰 사업일수록 관련된 자금의 흐름이 복잡해 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부정행위나 비리 가능성이 높다는 지적이다.
정부와 전라북도, 잼버리 조직위원회 등에 따르면 이번 잼버리에 투입된 총예산은 1171억원이다. 국비 303억원, 도비 409억원을 비롯한 지방비 419억원, 참가비 등 자체 수입 399억원, 옥외광고 50억원 등으로 구성됐다. 이 가운데 무려 74%를 차지하는 870억원이 조직위 운영비 및 사업비로 잡혔다.
조직위는 "사업비 656억원에는 참가자 급식 및 운영요원 식당 운영 등 121억원, 과정 활동 프로그램 운영비 63억원, 텐트·매트·취사용품 구입 59억원, 회원국 항공료 지원비용 45억원, K팝 공연 등 공연이벤트 45억원 등이 포함됐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잼버리 대회가 시작한 5일부터 새만금 스카우트 대원들은 급수 시설과 더위를 식힐 시설, 충분한 의료 시설 없이 한국의 폭염과 싸워야 했다. 동시에 메인 행사 건물인 글로벌청소년리더센터는 심지어 내년 3월 준공 예정이라는 소식이 알려졌다. 이런 가운데 여성가족부와 전라북도의 외유성 해외 출장 의혹이 제기됐다.
국민의힘과 더불어민주당은 부실 운영과 부적정 예산 사용 의혹을 받고 있는 이번 잼버리 대회에 대한 국정조사를 예고했다. 청년공인회계사회는 "다양한 곳에서 비리가 산재해 있을 수 있다. 민간 전문가가 참여한 철저한 감사를 통하여 일벌백계해 다시는 이러한 일이 반복되지 않아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