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대 여성 육아·가사 포기하고 '직장인' 택했다···192만명 육박
지난달 60대 여성 취업자 192만명 육아 3만명·가사 168만명보다 많아 고령화로 인한 경제활동 증가 추세
한국의 60대 여성 중 취업자 수가 192만명에 육박했다. 고령층이 늘어나면서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도 높아지고 있다.
16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과 경제활동인구조사 마이크로데이터에 따르면 지난달 전국 60대 여성 취업자 수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14만5000명(8.2%) 늘어났다.
191만7000명의 60대 여성이 집을 떠나 일터로 향했다. 반면 비경제활동 인구 가운데 미취학 이동을 돌본 60대 여성은 3만3000명으로 나타났다. 가사를 한 60대 여성은 167만7000명으로 집계됐다.
60대 여성 취업자 수가 육아·가사를 한 60대 여성(171만명)의 수를 뛰어넘었다. 지난해부터 60대 여성 취업자 수는 육아나 가사를 한 인구를 앞서기 시작했다. 지난해와 비교했을 때 육아를 한 60대 여성은 3000명 늘었지만 가사를 한 이는 1만7000명 줄었다.
이는 고령화가 진행되면서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이 높아진 결과다. 지난달 60세 이상 고령층의 경제활동참가율은 48.2%로 통계작성이 시작된 1999년 6월 이후 동월 기준 최고치를 기록했다. 고용률도 지난달 47.1%로 역대 6월 기준 가장 높았다.
통계청 조사 결과를 살펴보면 계속해서 근로를 희망하는 전국 고령층(55~79세) 비율은 지난해 68.5%로 지난해보다 0.4%포인트 상승했다.
특히 돌봄 서비스 종사자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지난달 60대 여성 취업자 가운데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 종사자는 37만5000명으로 가장 많았다. 지난해보다 3만7000명 늘었다.
60대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가 늘면서 전체 여성의 고용도 증가하는 모양새다. 지난달 여성 취업자 수는 지난해보다 33만2000명 늘면서 여성 고용률(55.1%)은 역대 6월 기준 최고치를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