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람지역에 생긴 '오송 지하차도'···차량 침수는 "예견된 참사였다"
경보 4시간 30분간 통제 안 한 당국 허술한 제방 관리···수색작업도 더뎌 "갑작스런 범람에 차량통제 못했다"
연이은 폭우로 제방이 무너지면서 차량 15대가 물에 잠긴 '오송 지하차도 침수 사고'가 막을 수 있었던 참사란 주장이 나왔다.
16일 행정당국에 따르면 15일 오전 8시 40분께 청주시 흥덕구 오송읍 궁평2지하차도에 미호강의 제방이 무너지면서 오송 지하차도가 완전히 침수됐다. 16일 1시 기준으로 8명이 사망했다.
미호강은 이미 여러 차례 범람 됐던 지역에 지하차도가 생겨나면서 이미 예견된 참사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실제로 금강홍수통제소 홈페이지의 미호강 수위표에 따르면 15일 새벽 2시부터 수위가 급격히 상승했다. 6시 반에는 이미 경보 수준보다 높은 '심각 수위'까지 도달했다.
당시 금강홍수통제소는 관할 구청에 인근 도로의 교통통제 등이 필요하다고 알린 것으로 전해졌다. 하지만 행정당국의 교통통제는 이뤄지지 않았다.
결국 오전 8시 40분 미호천교 인근의 둑이 유실되면서 하천의 물이 순식간에 지하차도로 쏟아져 들어왔다. 길이 430m의 지하차도 터널은 2∼3분 만에 6만t의 물로 가득 찼다. 15대의 차량은 끝내 지하차도를 빠져나오지 못했다.
지하차도는 비가 내리면 침수가 자주 발생해 행정기관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특히 궁평2 지하차도는 가까운 제방과는 불과 200여m 떨어졌으며 인근 논밭보다 낮은 지대라 이미 오래전부터 침수 사고가 예견되는 곳이었다.
행정당국이 홍수 경보가 내린 뒤 4시간 30여 분이 지나도록 차량통제를 하지 않았다. 사고 당일 현장에서 구조된 A씨는 "버스와 승용차 등이 주변에 많았는데 지하차도 앞뒤에서 물이 들어오더니 수위가 빠르게 높아졌다"며 "침수를 예상해 지하차도 진입로를 미리 막았더라면 이런 일은 발생하지 않았을 텐데 왜 통제가 안 됐는지 이해가 안 간다"고 분통을 터트렸다.
충청북도 관계자는 "홍수경보가 내려도 도로 상황 등을 파악해 차량을 통제하게 돼 있다"며 "이번 사고는 제방이 범람하면서 짧은 시간에 많은 물이 쏟아져 들어와 차량을 통제할 시간이 없었다"고 해명했다.
인근 지역 주민들은 제방 관리도 허술했다고 지적했다. 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장찬교 궁평1리 전 이장(68)은 "당시 미호강 제방은 3m 밑으로 강물이 차올라 있어 어느 정도 여유가 있었지만, 임시로 쌓은 둑은 30㎝ 밑까지 물이 출렁였다"며 "큰 모래주머니도 아니고, 긁어모은 모래로 쌓은 제방이어서 무너지는 것은 당연하다"고 설명했다.
그는 "방송 등에서도 1주일 전부터 장마를 대비하라고 했는데, 이렇게 엉망으로 제방을 쌓은 것이 말이 되느냐"며 "제방을 튼튼하게 쌓았더라면 어제 같은 사고는 없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사고 후에도 제방이 무너진 하천에서 지하차도로 물이 계속 유입돼 수색작업에도 큰 어려움을 겪으면서 사고 하루가 지난 16일 오전에야 시신을 인양했다.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 관계자는 "호우에 대비한 제방 공사는 이미 지난 7일 마친 상태이고, 15일 진행한 작업은 미호강의 수위가 올라가 보강작업을 한 것"이라며 "이 작업도 (물이 새지 않도록 하는) 천막을 깔고 흙을 올리는 방식으로 진행했는데 주민들은 다소 미흡했다고 생각하는 것 같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