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전 직원 2만여명 尹 구조개혁 맞서 '한국노총'에 헤쳐모여
한수원 등 계열사 노조 민노총 탈퇴는 쇼 상급단체 뭐로 바꾸든 노조가입률 100%
민주노총을 상급단체로 둔 한국전력기술 노조가 민주노총에서 탈퇴하면서 노조 가입률이 100%에 가까운 한국전력공사그룹을 비롯한 계열사 노조 지형이 급변하고 있다. 표면상으론 상급노조에 대한 반발이지만 결국엔 한국노총으로 헤쳐모여 협상력을 강화하겠다는 포석이다.
12일 여성경제신문 취재에 따르면 한전그룹 계열사인 한국수력원자력 노조는 상급단체가 없는 독립노조다. 그런데 이날 같은 원자력 계열사인 한국전력기술 노조가 민노총을 탈퇴했다. 이어 한전원자력연료 노조도 이달 중 대표자 회의 및 조합원 투표를 거쳐 민주노총 탈퇴 절차를 밟을 전망이다.
지난해 말 기준 한전그룹의 주력회사인 한국전력공사 4급 이하 직원으로 구성된 전국전력노동조합(이하 전력노조) 가입자는 1만5282명이다. 이들의 노조가입률은 100%로 상급단체는 한국노총이다. 이밖에도 산별 연합 단체인 전국공공산업노동조합연맹(이하 공공노련)에 가입돼 있다.
공기업 노조는 일반적으로 한국노총이나 민주노총과 같은 대규모 상급단체에 소속되는 것을 선호해 왔다. 그러나 한전기술 노조에선 민주노총이 탈원전 정책에 대한 암묵적으로 동의하는 모습을 보이면서 조합원들의 불만이 쌓였다.
이에 앞서 한전 전력노조도 상급단체 변경을 추진 중에 있다. 공공노련이 에너지 정책 변화에 따른 대응책 마련에 소홀했다는 이유로 지난 2일 탈퇴를 묻는 조합원 찬반투표가 92% 넘는 찬성률로 가결했다. 다만 공공노련에서 탈퇴했을 뿐, 새롭게 창설되는 전력연명(가칭)도 한국노총 산하 기관이 될 전망이다.
결과적으로 한전과 계열사 소속 2만여명의 직원은 윤석열 정부의 전력사업 민영화와 구조조정 움직임에 맞서기 위해 한국노총으로 헤쳐모이고 있다. 정부는 지난해 한전을 포함한 공공기관 14곳을 재무위험기관으로 지목하고 부채액을 문제 삼아 구조조정 기회를 엿보고 있다.
한전은 이날 정승일 사장 퇴진 방침과 함께 남서울본부 건물 등 부동산 자산 매각, 전체 임직원 임금 인상분 반납 등을 통해 2026년까지 25조7000억원 규모의 재무 개선을 이루겠다는 자구책을 발표했다. 재계 한 관계자는 "직원들의 임금 인상분을 반납하는 방식은 전기료 인상의 명분이 되기 어렵고 반발을 부를 수밖에 없다"며 "구체적으로 한전KPS와 같은 송신 설비 회사의 민영화를 고려해봐야 할 때"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