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정부 1주년에도 계속된 성명 표기 논란···산림청도 '윤석렬' 오기

한자 '悅'···'윤석열'이 맞는 표기 발음법 영향으로 '윤석렬' 유추 성명은 당사자 선호에 따라 발음

2023-05-10     김혜선 기자
남성현 산림청 청장은 10일 대전청사에서 윤석열 정부 1주년 사업 성과 발표를 진행했다. /e-브리핑 갈무리

윤석열 정부 출범 1주년을 맞았지만 여전히 대통령 성명의 잘못된 표기 문제가 계속 나타나고 있다. 심지어 국가행정조직인 '산림청'마저 대통령 성명을 오기했다.

10일 여성경제신문 취재에 따르면 산림청은 이날 윤석열 정부 1주년 사업 성과를 발표하는 e-브리핑 홈페이지에 윤석열 대통령의 성명을 '윤석렬'로 오기했다. 윤 대통령은 성명에 기쁠 열(悅)을 사용하기에 '윤석열'이 맞는 표기다.

산림청은 사업 성과를 발표하는 e-브리핑 홈페이지에 윤석열 대통령의 성명을 '윤석렬'로 오기했다. /e-브리핑 갈무리

윤 대통령 성명의 발음 관련 논란은 그가 대선 후보자 신분이었던 2021년부터 지속됐다. 2021년 문화체육관광위원회의 국립국어원 국정감사에서 나온 '윤석열'의 발음법 관련 질문에 대해 장소원 국립국어원 원장은 "발음법상 윤성녈이 맞다"고 답했다. 실제로 윤 대통령도 자기 성명을 '윤성녈'로 발음하길 요구했다고 알려졌다.

표준 발음법에 따르면 연음법칙에 따라 윤석열은 '윤서결'로 발음하는 게 맞다. 하지만 이름과 같은 고유명사의 경우 표준 발음이 정해지지 않아 '윤성녈'로 발음해도 무방하다. 고유명사의 경우 음운현상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 이상 당사자가 선호하는 발음으로 이름을 부를 수 있다는 게 국립국어원의 입장이다.

일각에선 '윤성녈' 발음이 오기에 영향을 미쳤다고 판단하고 있다. 일반적인 발음 표기에 따라 '윤석렬'이 자연스럽게 떠오른다는 것.

국립국어원 어문연구과 관계자는 여성경제신문과의 통화에서 "일반적으로 받침 'ㄱ' 다음에 오는 'ㄹ'을 'ㄴ'으로 발음하기에 '윤석렬'로 착각한 경우"라며 "발음으로 이름을 혼동할 여지가 분명히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대통령실의 입장과 한자 기반의 성명인 점을 고려했을 때 윤석열이 맞는 표기"라고 덧붙였다.

한편 남성현 산림청 청장은 윤 정부 출범 1주년 성과로 지난해 10월 시행된 임업 직불제를 꼽았다. 임업 직불제는 임업인의 낮은 소득을 보전하는 제도로 산림청은 "임업 직불제 도입으로 산림경영 활성에 큰 전환점이 됐다"고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