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가 만든 이모티콘으로 돈 벌 수 있을까···카카오, 올해 안 입점 정책 수립
인간 이미지 학습하는 AI AI가 그린 그림, 누구 것? 타인 창작물 악용 우려에 카카오 "AI 방침 세울 것"
카카오가 인공지능(AI)으로 만든 이모티콘 출시를 앞두고 있다. 올해 안으로 이모티콘샵 입점 정책을 수립해 AI 이모티콘을 입점시키는 게 목표다.
4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김지현 카카오 디지털아이템팀장이 서울시청에서 열린 '생성 AI 시대의 법적 쟁점' 세미나 토론에서 생성형 AI로 만든 이모티콘 입점 제안이 실제로 들어오고 있다면서 "이모티콘 입점 정책은 올해 안에 수립하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
김 팀장은 "AI 활용 이모티콘의 (이모티콘샵) 입점 정책은 카카오 혼자만이 아니라 전문가와의 협력을 통해 진행할 예정"이라며 "이런 이모티콘의 창작성과 저작권을 어디까지 인정할지 판단하는 것이 실무자 입장에서는 가장 큰 어려움"이라고 토로했다.
일부 AI 이미지 생성 서비스는 인간이 그린 이미지를 토대로 학습한다. 이에 AI '이미지 학습'에 대한 저작권 인정 여부와 '해당 기술 사용 상품의 판매 가능성'에 대한 논란은 끊임이 없다.
우연의 일치로 여러 창작자가 같은 AI 프로그램을 써 같은 결과물이 나올 가능성도 있으며 AI 학습 과정에서 타인의 창작물이 악용될 우려가 있다. 이런 우려로 카카오는 현재 AI를 활용해 만든 이모티콘의 이모티콘샵 입점을 제한하고 있다.
김 팀장은 "어떤 AI 기술을 활용하는지에 따라 저작권 인정 여부가 달라질 수 있지만 이모티콘 제안 단계에서 창작자의 AI 기술 활용 여부와 사용한 AI 기술 툴 종류를 파악할 수 없다"며 "입점 제한은 창작자가 심사 과정에서 제공한 정보를 근거로 한다"고 설명했다.
다만 AI는 거역하기 어려운 흐름인 만큼 AI 활용을 계속 제한만 할 수는 없다는 게 카카오의 입장이다. 김 팀장은 "한국인공지능법학회를 비롯한 전문가와 함께 생성형 AI 관련 방침을 정할 것"이라며 "이 과정은 카카오가 지금까지 해 온 것처럼 창작자의 권리를 보장하고, 이용자 후생이 증가할 수 있는 방향으로 추진된다"고 강조했다.
AI의 저작권에 대한 사회적 논의는 시작 단계이기에 역기능을 최소화하는 방향의 정책을 편다는 것이다. 김 팀장은 "플랫폼의 책임 관점에서 AI 창작물의 예술성 인정보다는 저작권 인정 여부에 우선 집중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카카오가 2011년 이모티콘 서비스 시작 이래 누적 10억원 이상 매출을 낸 이모티콘은 116개이다. 또한 1억원 이상 매출을 기록한 이모티콘은 1852개다. 카카오는 올해 이모티콘 시장 규모가 1조원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