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미 저출산위 부위원장 상생형 직장어린이집 방문···현장 중심 소통 행보
직장어린이집 현장 의견 청취
김영미 대통령 직속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이하 위원회) 부위원장은 16일 어린이집 이용 부모 및 교사와의 소통과 애로사항 청취를 위해 적극적인 현장 행보에 나섰다.
김 부위원장은 이날 오전 11시 30분 서울 성동구에 위치한 ‘모두의 숲 어린이집’(원장 박미영)을 방문해 직장 어린이집 관련 의견을 청취했다. ‘모두의 숲 어린이집’은 직장 어린이집 설치가 어려운 소셜벤처와 비영리 조직 근로자의 자녀가 함께 이용할 수 있는 상생형 공동 직장 어린이집으로 2020년에 설립됐다.
김 부위원장은 어린이집 이용 부모와 일·가정 양립 과정에서 발생하는 고충, 직장 어린이집 운영에 있어 애로사항과 정부에 바라는 건의사항 등 저출산 대책 전반에 대한 의견을 나눴다.
김 부위원장은 “오늘 주신 의견을 토대로 부모와 어린이집 관계자의 고충을 해소할 수 있는 방법을 적극 모색하고 보육서비스 품질을 높이기 위해 관계부처와 긴밀히 협력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김 부위원장은 “우리나라 사업장의 대다수가 중소기업이고 지역에서 일하는 부모의 보육 접근성 등을 고려할 때 직장b어린이집의 역할이 특히 중요해졌다”라며 “앞으로도 돌봄의 국가책임을 강화할 수 있도록 위원회와 보육현장의 협력을 지속적으로 강화해 나가도록 하겠다”고 전했다.
해당 일정을 마친 뒤 김 부위원장은 이날 오후 6시 30분 정부서울청사 위원회 회의실에서 ‘아이 키우기 좋은 환경’ 마련을 위해 정책당사자의 생생한 의견을 듣고자 간담회를 개최했다. 본 간담회에는 성북구·용산구·은평구·종로구 가족센터 아이돌봄서비스 이용자가 참석해 정부의 아동양육 지원서비스에 대한 의견을 제시했다.
참석자 중 3자녀 이상 다자녀 가구 양육자들이 정부의 다자녀 지원 정책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건의했다. 김 부위원장은 “그동안 정부에서는 무상보육, 초등돌봄, 아이돌봄서비스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했으나 돌봄의 사각지대는 여전히 존재하고 아동 양육에 대한 부담은 여전히 큰 것이 현실”이라며 “개별 가정의 필요에 맞춘, 공백 없는 서비스가 확대될 수 있도록 현장의 목소리를 지속적으로 듣고 정책에 반영해 나가겠다”고 다짐했다.
이어 김 부위원장은 “아동 양육부담을 완화하고, 안전하고 질 높은 양육환경 조성을 위해 국가가 책임을 다할 수 있도록 위원회에서 사명감을 갖고 관계부처와 지속적으로 협력해 나가도록 하겠다”고 약속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