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측근 사망 겹악재···사법리스크 책임론 격화 

도의적 책임 필요···당직 개편 가능성 나와 친명계 "결국 공천권 달라는 것···논의 안해"

2023-03-13     오수진 기자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10일 오후 경기도 성남시의료원에 마련된 경기도지사 시절 초대 비서실장 전모 씨 빈소에서 조문을 마친 후 나오고 있다. /연합뉴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악재가 거듭되는 모양새다. 체포동의안 표결 이후 자신의 정치적 고향인 경기도에서 본격 민생 행보를 통해 당을 수습하려던 차에 경기도지사 시절 초대 비서실장인 전모 씨의 부고가 전해지면서다. 

이 대표는 숨진 전씨의 사망 원인을 검찰의 과도한 수사 때문이라고 강도 높게 비판했지만, 다시 한 번 본인의 '사법 리스크를 수면 위로 올라오게 한 계기가 됐다. 비명계(비이재명계)는 불행한 사건의 반복은 이 대표의 정치적 리더십 회복 돌파구를 잃게 한 것이라고 했다.

전씨는 지난 9일 자택에서 숨진 채 발견됐다. 이 대표 비리 의혹 사건에 등장했던 인물 가운데 숨진 사람은 전씨를 포함해 다섯명이다. 언론에 따르면 전씨가 남긴 유서에는 "이재명 대표는 이제 정치를 내려놓으십시오" "더이상 희생자는 없어야지요" "측근을 진정성 있게 관리해 달라"는 등의 내용이 담긴 것으로 전해진다. 

'이재명 책임론'을 두고 당 내부에서는 겉으론 여전히 단일대오를 외치고 있지만 "국민들이 의구심을 갖고 있는 것도 사실"이라며 "당 대표로서 책임감을 갖고 이런 상황을 주시하고 대응책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동시에 나오는 상황이다. 

윤영찬 민주당 의원은 "이재명 대표와 관련한 일로 수사를 받거나 고발인이 된 상황에서 스스로 목숨을 끊어 고인이 되신 분이 네 분이다. 네 분 모두 이 대표를 충직하게 모셨던 사람들"이라며 "이 대표가 말한 대로 검찰의 무리한 수사 때문이라면 속히 밝혀야 한다. 그러나 이 대표 본인이나 주변에서 고인에게 부담을 주는 일이 있었다면 대표가 책임을 져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김해영 전 민주당 의원도 "이재명 대표와 같은 인물이 민주당의 대표라는 사실에 당원으로서 한없는 부끄러움과 참담함을 느낀다"며 "한 사람의 생명이 전 지구보다 무겁다는 말이 있다. 지금과 같은 상황에서도 당이 이재명 방탄을 이어간다면 민주당은 그 명(命)이 다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당 지도부에서도 일부 고심하는 모습이 읽히고 있다. 고민정 최고위원은 지난 11일 경남도당 강연에서 "지금 당내 상황이 아주 어렵다. 이재명 대표를 지켜달라는 목소리가 있고, 이대로는 어렵다는 목소리도 있다"며 "어느 것이 옳은지 판단할 수 없다"고 말했다. 

이 같은 당내 흐름 속에 비명계는 당 분위기를 전환하기 위해서라도 지도부 개편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재명 방탄'의 원인을 해결해 당의 갈등과 변화를 보여줘야 한다는 이유에서다. 

비명계 한 의원은 여성경제신문과 통화에서 "지금 상황에서 당 위기를 전환하기 위한 방법은 인적 변화뿐"이라면서 "당 대표가 나가지 않는다면 일부 당직 개편이라도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지도부 개편에는 사무총장과 전략기획위원장 등이 거론되는 상태다. 하지만 총선 공천 과정에 큰 영향을 끼칠 수 있는 핵심 보직인 만큼 친명계는 비명계가 "당직 거래를 요구하는 것"이라고 반발하고 있다. 친명계 한 의원은 통화에서 "결국은 공천권을 두고 수싸움 하자는 거 아니냐"면서 "받아들일 수도 없고 논의할 일도 없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