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각 춘천' 이은 '각 세종' 본격화···최첨단 데이터센터 구축

'각 춘천' 무중단·무사고·무재해로 10년간 운영 전기 공급 없어도 70시간 안정적 가동토록 설계 안정된 서비스 위한 재난 시 대응 매뉴얼 구축

2023-02-12     김혜선 기자
네이버클라우드는 강원도 춘천에 위치한 네이버 자체 데이터센터에서 테크포럼을 9일 진행했다. 정수환 IT서비스본부장(왼쪽), 노상민 데이터 센터장(오른쪽)이 올 하반기 선보일 '각 세종'을 소개하고 있다. /네이버클라우드 제공

네이버클라우드의 10년간 무사고였던 '각 춘천' 데이터센터 운영 노하우가 세상에 공개됐다. 팀 네이버의 기술이 집약된 '각 세종'은 올 하반기 본격 가동된다.

네이버클라우드는 강원도 춘천에 위치한 네이버 자체 데이터센터(이하 각 춘천)에서 올 하반기 선보일 '각 세종'을 소개하는 테크포럼을 개최했다. 이날 발표자로 나선 노상민 네이버클라우드 데이터센터 센터장은 '무중단·무사고·무재해'를 각 춘천의 3대 운영 키워드로 꼽으며, 자사의 차별화된 기술과 역량에 대해 강조했다.

네이버는 지난 2013년 국내 인터넷 포털 기업 최초로 자체 데이터센터 '각 춘천'을 공개했다. 강원도 춘천시에 위치한 각 춘천은 약 10만 유닛(Unit, 서버의 높이 단위규격)의 서버를 수용할 수 있는 비수도권 최대 규모의 데이터센터다. 각 춘천은 현재까지도 네이버의 인터넷 서비스 제공에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네이버클라우드는 각 춘천의 설계·구축·운영 전 단계에서 전담 인력 양성과 기술개발(R&D)에 공들였다. 외부에 의존하지 않고서 데이터센터 운영체계를 확보할 수 있도록 다양한 직군의 데이터센터 전문 인력을 육성하고 기술 역량을 내재화하고 있다. 

네이버클라우드는 자체 개발한 서비스 장애 감지도구 WMS(Web Monitoring System)를 통해 기존 상용 도구로는 못 했던 장애 전조증상까지 감지한다. 자체 개발한 다른 도구인 'Weave' 역시 종합 장애를 분석해 서비스 및 인프라 장애감지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 네트워크, 서버 정보가 연동되어 있어 서비스 장애 시 종합적인 상황 분석과 효과적인 복구 지원이 가능하다.

또한 재난 재해가 발생하더라도 서비스 지속성이 유지될 수 있도록 대비 시설을 구축했다. 각 춘천의 모든 건물은 국내의 원자력 발전소 내진설계와 동일한 수준인 규모 6.5 이상을 견딜 수 있도록 설계가 되어 있다.

한국전력의 전기 공급 이상으로 정전이 발생하는 경우도 대비했다. 각 순천은 다이나믹 전원공급장치를 통해 전력 이상이 발생하더라도 공급 중단 없이 약 70시간 이상 테이터센터를 가동할 수 있도록 설계했다. 

그 외에도 네이버클라우드는 산불 발생 시 감지 소프트웨어를 통해 화재 확산을 막고 있으며, 연 1회씩 춘천소방서와의 민관합동소방훈련으로 화재 대응 매뉴얼을 구축하고 있다. 이는 재해 발생 시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는 BCP 전담 조직을 중심으로 진행된다.

노상민 네이버클라우드 데이터센터장은 "주요 서비스의 경우 장애 대처의 골든타임 이내에 복구해야 한다는 사명감이 있다"며 "서비스가 죽으면 안 되고, 데이터를 잃어버려서는 안 된다는 것이 네이버클라우드의 사명감"이라고 말했다.

미래 센터 청사진 '각 세종' 하반기 본격 가동
네이버, 최첨단 ‘미래형 로봇 데이터센터’ 전망
로봇·자율주행 등 첨단 기술 적용으로 생산성↑


네이버클라우드는 두 번째 자체 데이터센터인 '각 세종'은 올해 2분기 내 준공을 완료하고 3분기에 실가동을 목표로 하고 있다. 시설이 한 곳에 밀집해 있으면 재난 시 위기관리에 취약할 수 있어 각 춘천과의 물리적 거리를 고려해 입지가 선정됐다.

미래형 로봇 데이터센터로 탄생할 각 세종은 각 춘천의 6배 규모다. 팀 네이버 기술을 집약한 각 세종은 클라우드 산업의 핵심 동력으로 자리 잡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지난해 완공한 네이버 제2 사옥 '1784'에 이어 각 세종에도 로봇과 자율주행 등의 첨단 기술을 대거 적용할 예정이다.

로봇, 자율주행셔틀 등이 활용될 각 세종에서는 데이터센터 현장 업무의 생산성을 보다 높이는 걸 목표로 한다. 또한 향후 20년간 IT 서비스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친환경 재생 에너지를 적극 활용해 정부의 온실가스 감축과 탈원전을 대비할 예정이다. 

정수환 네이버클라우드 IT서비스본부장은 "네이버클라우드는 로봇, AI, 클라우드 등 첨단 기술에 대한 아낌없는 투자를 바탕으로 서비스 안정성을 이어갈 것"이라며 "각 세종은 최근 주목받고 있는 네이버의 초대규모 AI 하이퍼클로바가 성장하고 전 세계로 뻗어나가는 근간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