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여일 남은 이태원 국정조사···증인·기간 연장에 입장차 

신현영 vs 한덕수 증인 채택 두고 신경전 활동 기한엔 "연장 불가피" vs "고려 안해"

2022-12-26     오수진 기자
23일 오전 서울 용산구 이태원 참사 현장에서 10.29 이태원 참사 유가족협의회와 이태원 관광특구연합회, 이태원 참사 시민대책회의 활동가들이 희생자들의 온전한 추모를 위한 재단장 작업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회 이태원참사 국정조사특별위원회(국조특위)가 현장조사 등을 마쳤지만, 증인 채택과 활동기간 연장을 두고 여야의 입장이 엇갈리고 있다. 국조특위는 다음달 7일 활동이 종료된다. 

국조특위는 오는 27일과 29일 이틀에 걸쳐 대통령실 국정상황실, 국무조정실 등 18개 기관을 대상으로 기관 보고를 받는다. 또 다음달 2~6일은 세 차례의 청문회도 열린다.

26일 현재 여야는 증인 채택을 위한 협상을 진행 중이다. 하지만 한덕수 국무총리와 신현영 더불어민주당 의원 등을 증인으로 채택하기 위해 공방 중이다. 민주당은 한 총리를 불러야 한다는 입장인 반면 국민의힘은 최근 닥터카 탑승으로 논란을 일으킨 신 의원을 증인으로 세워야 한다고 주장한다. 

민주당은 "참사 관련 부처를 총괄할 수 있는 사람은 대통령과 총리밖에 없다"며 "총리가 안 나오면 대통령이 나오겠다는 소리인지 되묻고 싶다"고 강조했다. 

국민의힘은 "신 의원 부부가 닥터카를 콜택시로 쓴 사건을 둘러싸고 연일 새로운 사실과 의혹이 쏟아진다"며 "신 의원과 명지병원 관계자들의 증인 채택을 요구한다"고 압박했다. 

여야는 또 국조특위 활동을 연장할 것인지 여부에도 입장이 엇갈리고 있다. 그간 국민의힘이 특위 보이콧 검토 등으로 활동이 지연된 만큼 활동 기한 연장은 불가피하다는 민주당 주장과 달리 국민의힘은 연장 불가를 고수하고 있다. 

예산 전쟁은 끝났지만 국조특위 활동을 두고 여야의 기 싸움이 이어지면서 이태원 참사 진상규명과 재발 방지 대책 마련도 미뤄질 전망이다. 

국조특위 한 의원은 본지에 "국민의힘은 예산안 심의를 볼모로 국정조사를 지연시켰다. 활동 기간이 10여 일밖에 남지 않았는데, 이 기간에 할 수 있는 건 많지 않다"면서 "조사 기간 반을 날린 정부 여당의 협조적 태도가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