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산 원유가 상한제 러-우크라 모두 불만···겨울 전쟁 장기화

EU·G7 60달러로 합의···韓도 참가 의사 밝혀

2022-12-04     이상헌 기자
러시아 송유관 앞에서 한 근로자가 전화통화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배럴당 60달러 이하로 설정된 러시아산 원유 가격 상한제가 만족할 만한 수준이 아니라는 입장을 밝혔다. 이와 함께 러시아 역시 제재 참가국에 대한 원유 공급을 중단하겠다는 강경 대응으로 나오면서 겨울 전쟁의 장기화를 예고했다.

4일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유럽연합(EU)은 현재 70달러 선에서 거래되는 러시아산 원유 가격 상한액을 60달러로 정하기로 의견을 모았으나, 정작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어느 쪽도 만족하지 못하면서 불만의 목소리가 표출하고 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폴란드와 발트해 국가들의 주장처럼 상한선을 30달러로 하지 않고 60달러로 정함으로써 연간 약 1000억 달러의 러시아 예산이 늘게 됐다"고 토로했다. 그러면서 "러시아는 의도적으로 에너지 시장을 불안정하게 함으로써 이미 세계 모든 국가에 심대한 손실을 입혔다"며 "이는 피해국을 더욱 불안정하게 만드는 데 쓰일 것"이라고 경고했다.

다만 우크라이나와 함께 가격 상한을 더 낮추기를 바랐던 폴란드가 막판에 60달러 상한에 호응하면서 가까스로 합의안이 마련됐다. EU 소속 27개 회원국이 러시아산 원유 가격에 상한선을 설정한 이유는 전쟁 자금 조달을 어렵게 하기 위한 목적이다.

러시아산 원유 가격 상한제는 이르면 5일부터 시행되고, G7과 EU, 호주는 상한액을 넘는 가격에 수출되는 러시아 원유에 대한 보험과 운송 등 해상 서비스를 금지한다.미국과 일본, 영국이 포함된 주요 7개국(G7)과 호주도 이번 제재에 참가할 예정이다. 윤석열 정부도 지난 7월 재닛 옐런 미국 재무장관 방한 당시 동참 의사를 밝힌 바 있어 귀추가 주목된다.

미국 주재 러시아 대사관은 이번 조치를 앞두고 "올해부터 유럽은 러시아 석유 없이 살게 될 것"이라며 공급 중단 방침을 재확인했다. 그러면서 "이 같은 조치는 필연적으로 불확실성을 증가시키고 원자재 가격 상승을 유발할 것"이라고 으름장을 놓고 있다.

러시아는 9월 말 동부 도네츠크·루한스크주와 남부 헤르손·자포리자주 등 우크라이나 내 점령지를 자국령으로 합병했다. 이에 우크라이나는 러시아의 완전 철군과 점령 중인 모든 영토를 수복하는 것이 최종 목표다. 반면 푸틴 대통령은 올 연말 또는 내년 초 해당 지역을 방문할 일정을 밝히면서 철군의 생각이 없음을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