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고랜드발 채권시장 경색에···김진태 "혼란 초래 유감"
사업자 2050억 어음 미상환 중 부도 "내년 1월까지 보증 채무 갚을 것" "李, 사태 이용 사법리스크 희석말라"
김진태 강원지사가 24일 채권시장에 충격을 준 ‘레고랜드 사태’와 관련해 유감을 표했다.
김 지사는 이날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이번 일로 본의 아니게 그렇지 않아도 어려운 자금 시장에 불필요한 혼란과 오해가 초래돼 매우 유감스럽게 생각한다”고 밝혔다.
이어 “강원도는 단 한 번도 채무불이행을 선언한 적이 없다”며 “도가 구체적인 변제 일정을 제시했고 중앙정부도 고강도 대책을 발표했으니 금융시장이 속히 안정을 찾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다만 민주당 중앙당에서 항의 성명을 발표한 것에 대해서는 "이재명 대표는 과거 성남시장 시절 모라토리엄(채무이행 유예)을 선언해 금융 시장을 충격에 빠트린 적이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강원도는 적어도 모라토리엄과 디폴트 선언을 한 적이 없으며, 처음부터 확실히 (채무를) 갚겠다고 했다"면서 "이재명 대표는 이번 레고랜드 보증채무 사태를 이용해 본인이 처한 사법리스크를 희석하려 하지 말라"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보증 채무를 갚는 일정이 조금 앞당겨진 측면이 있지만 언제라도 갚아야 할 것이기 때문에 선후를 달리해 내년 1월까지 갚고, 강원중도개발공사(GJC) 자산을 제대로 팔아 보증 채무를 부담한 것 이상으로 혈세를 확보하겠다”고 강조했다.
레고랜드 사태는 사업자인 강원도 산하 강원중도개발공사가 자금 조달을 위해 설립한 특수목적법인(SPC·아이원제일차)에서 발행한 2050억원 자산유동화기업어음(ABCP)이 지난 9월 말 만기가 돌아왔지만, 연장되지 않고 미상환 상태에서 지난 6일 부도 처리돼 촉발됐다. 강원도가 만기 연장 대신 “법원에 강원중도개발공사 회생 신청을 내겠다”고 하면서 벌어진 일이다.
강원도의 레고랜드 채무 불이행이 투자자들의 공포를 자극하면서 시장에 ‘돈줄’이 마르자 정부는 전날 긴급하게 ‘50조원+알파’ 규모의 유동성 지원책을 내놨다.
국민의힘에서는 자당 소속 김 지사가 이번 사태의 원인을 제공했다는 점에서 책임론도 제기됐다. 주호영 원내대표는 이날 비상대책위원 회의에서 “이제는 우리가 집권하고 도정을 맡으면서 나쁜 것까지 책임을 져야 하는 상황이기에 신중에 신중을 거듭했으면 좋겠다”며 “강원도가 채무 이행을 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미이행 발표로 불신을 키웠다”고 했다.
당권주자로 꼽히는 유승민 전 의원은 전날 페이스북에서 “강원도 전체가 파산하지 않는 한, 강원도는 GJC 어음(ABCP) 2050억원에 대한 지급보증 약속을 지켜야만 한다”며 “‘레고랜드만 부도 내고 강원도는 무사한 방법’은 애당초 없다. 지방정부의 꼬리자르기식 회생 신청은 불가능하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