끊이지 않는 농협중앙회 개인정보 유출‧‧‧회장·조합장 선거철 최대

최근 5년간 4354명 유출‧‧‧24건 징계 ‘시늉’ 조합원 개인정보 무단 조회‧‧‧선거 등에 유용 지난해 조합장 및 국회의원 ‘불법 사찰’ 논란

2022-10-05     최주연 기자
농협중앙회 임직원의 고객 정보 무단 조회와 유출이 끊이지 않고 있다. 최근 5년간 조합원에 대한 수천 건의 정보 유출이 발각됐다. /연합뉴스

농협중앙회 임직원의 고객 정보 무단 조회와 유출이 끊이지 않고 있다. 최근 5년간 조합원에 대한 수천 건의 개인정보가 유출됐다. 외부 제보를 통해 발각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고 솜방망이 처벌에 그쳤다. 중앙회장 및 조합장 선거 당해와 직전 해 가장 많이 유출됐다. 

4일 여성경제신문은 국민의힘 이달곤 의원이 농협중앙회에서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17년부터 최근까지 5년 간 농‧축협 임직원의 개인정보 무단 조회로 피해를 입은 개인은 총 4354명에 달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개인정보 유출은 중앙회장과 조합장 선거가 있었던 2020년과 2019년이 가장 많았다. 이 의원 자료에 따르면 △2017년 725명 △2018년 8명 △2019년 1306명 △2020년 2128명 △2021년 31명이 유출됐다. 올해 9월까지만 156명의 개인정보 유출이 있었다.

개인정보 유출은 중앙회장과 조합장 선거가 있었던 2020년과 2019년이 가장 많았다. 이 의원 자료에 따르면 △2017년 725명 △2018년 8명 △2019년 1306명 △2020년 2128명 △2021년 31명이 유출됐다. 올해 9월까지만 156명의 개인정보 유출이 있었다. /자료=이달곤 의원실, 여성경제신문 재구성

이성희 중앙회장이 선출된 24대 농협중앙회장 선거일은 2020년 1월 31일이었다. 1344명의 조합장을 뽑는 선거일은 2019년 3월 13일이었다.

실제 개인정보 유출 피해의 대다수는 소속 조합원이었다. 이달곤 의원실 자료에 따르면, 2019년 강진남부농협에서는 비상임이사 A씨가 1948명의 개인정보가 기재된 조합원 명부를 지방자치단체 후보 선거사무실에 유출했다.

또한 굴비골농협 직원 B씨는 전임 조합장의 부탁으로 2년여에 걸쳐(2017년 12월~2018년 10월)조합원 688명의 전화번호를 불법 취득해 전임 조합장 이름으로 2만4454건의 안부 문자를 발송하기도 했다.

그런데 이러한 사실이 외부 제보를 통해서만 발각됐다. 농협중앙회는 2019년 12월부터 개인정보보호 오남용 방지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있지만 이 시스템 도입 이후 신고 건수는 한 건도 없었다. 외부 신고로만 13건이 징계됐다. 농협중앙회 내부 감시망이 전혀 작동하지 않고 있는 것이다.

개인정보 무단조회 발각 경위는 금감원 등에 제보하는 형태가 가장 많았다. 민원(금감원 등)이 절반(54.2%)을 차지했고 조합 자체 발각(29.2%), 언론보도(8.3%), 노조감사(4.2%), 검찰(4.2%) 순이었다.

농협중앙회의 솜방망이 처벌도 문제시되고 있다. 이달곤 의원은 “유출 사례 대부분이 민원 등 외부를 통해 발각됐을 뿐만 아니라, 견책이나 주의 촉구 등 가벼운 처벌에 그쳤다”면서 “내년에 조합장 선거를 앞둔 만큼, 사전 모니터링 강화 및 유출 당사자에 대한 강력한 징계 조치로 고객 개인정보 관리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농협중앙회 조합장 선거는 내년 3월 치러진다.

농협중앙회 관계자는 여성경제신문과의 통화에서 “과거에는 통상적으로 했던 것들이 근래 들어 개인정보유출 문제로까지 민감해지면서 문제시되고 있는데 앞으로 내부통제를 강화하면서 개선될 것으로 본다”며 “아직은 감사 인원이 적어 개인정보 유출이 지속되는 것 같아 전산 강화 및 고도화 조치를 하고 있다”고 해명했다.

또한 “직원 징계는 농협중앙회에서 조합에 가이드만 제시하고 있다”면서 “징계에 대한 수위는 조합에서 최종 결정한다”고 말했다.

불법 사찰 논란부터 수백억대 횡령까지
디지털 혁신 앞서 조직 내부통제 先과제


농협중앙회의 개인정보 유출은 조합원에만 한정되지 않았다. 중앙회는 지난해 2월 지역 주요 인사의 동향 파악 보고를 지시하면서 ‘불법 사찰’ 논란이 불거졌다. 농협중앙회가 인사총무부의 업무 연락을 통해 각 지역본부 인사담당 책임자들로 하여금 매일 오전 11시까지 소관 농‧축협 조합장, 지자체장, 국회의원 동향 등의 내용을 보고해 올리라는 공문을 내려보내면서 문제가 된 것이다.

이에 대해 농협중앙회 관계자는 “시‧군 지역 행사를 비롯한 진행 내용을 파악하는 차원에서 통상적으로 해왔던 것”이라면서 “정보 수집, 불법 사찰이니 하면서 마치 나쁜 일을 꾸미는 것처럼 보도됐다”라고 해명했다.

농‧축협 직원의 일탈은 개인정보 논란뿐 아니라 횡령으로도 드러나고 있다. 이달곤 의원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 농협중앙회 소속 임직원의 총 횡령금액은 516억원으로 확인됐다.

올해 9월까지 38건의 횡령이 발생했으며 그 금액은 288억원에 달한다. △2017년 23건, 24억원 △2018년 32건, 32억원 △2019년 43건, 90억원 △2020년 36건, 25억원 △2021년 40건, 57억원으로 파악됐다. 특히 올해 대형 횡령 사고가 잇따르면서 5년간 발생한 횡령금액의 절반을 차지했다.

올해 9월까지 38건의 횡령이 발생했으며 그 금액은 288억원에 달한다. △2017년 23건, 24억원 △2018년 32건, 32억원 △2019년 43건, 90억원 △2020년 36건, 25억원 △2021년 40건, 57억원으로 파악됐다. /자료=이달곤 의원실, 여성경제신문 재구성

이성희 회장은 취임 2주년을 맞이해 농업과 농촌에 대한 디지털 혁신과 농축산물 유통개혁 등 정보화를 강조했다. 그러나 끊이지 않는 개인정보 유출과 최근 터진 수백억대 횡령 사고로 리더십에 금이 가고 있다.

이 회장은 오는 10월 7일 국회 농림축산식품부해양수산위원회 국정감사를 받는다. 최대 현안으로 부각된 쌀값 안정과 쌀 소비 촉진, 내부통제에 대한 질의가 집중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