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팡이츠 자전거‧킥보드 라이더 안전 나 몰라라···보험 미적용 언제까지?

5개월째 자전거·킥보드 보험無 매출·앱 이용자↑·라이더 안전↓

2022-10-02     오지운 인턴기자

쿠팡이츠가 라이더 안전 정책에 대한 공수표를 남발하고 있다. 1년 만에 애플리케이션(앱) 이용자 수가 3배가량 늘었지만, 자전거·킥보드 등을 이용하는 개인형 이동 수단 라이더들의 안전은 다섯 달째 수수방관 중이다.

전동킥보드를 이용하는 배달원 /연합뉴스

1일 여성경제신문 취재를 종합하면, 쿠팡이츠는 지난 4월 승용차와 오토바이에 '시간제 유상운송보험'을 도입한 이후 보험 적용 대상을 순차적으로 확대하겠다고 했지만 5개월이 지난 지금도 제자리인 것으로 드러났다. 여전히 일반자전거, 전기자전거, 전동킥보드 등 개인형 이동 수단(PM: Personal Mobility)을 이용하는 배달원은 보험 혜택을 받을 수 없는 것이다.

시간제 유상운송보험은 픽업지에서 배달지로 이동하는 '시간마다' 적용되는 보험이다. 파트 타임으로 배달을 수행하는 배달원의 경우, 시간제보험이 적용되면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만큼 안전하게 배달할 수 있다.

이 보험은 'N잡러(여러 직업을 가진 사람)' 증가와 함께 배달업 종사인구가 늘면서 도입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부업 종사자는 지난 5월 기준 62만 9610명이다. 코로나19 이후 재택근무와 유연근무제가 도입되면서 2020년 1월(38만명)에 비해 약 65% 증가한 것. 그런데도 쿠팡이츠는 자전거나 킥보드를 이용하는 라이더에게 시간제보험을 적용하지 않는다.

반면 경쟁업체인 '배달의민족 커넥트'는 승용차와 오토바이뿐만 아니라 PM까지도 시간제보험을 필수로 적용하고 있다. 배달의민족을 운영하는 우아한형제들 관계자는 여성경제신문과의 통화에서 "부업은 이동 수단이 다양하기 때문에 모든 배달원이 안전한 환경에서 일을 할 수 있도록 PM 보험을 의무화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쿠팡이츠는 '시간제 유상운송보험' 대상 확대 계획에 대한 입장을 밝히지 않고 있다.


1년만에 이용자 수 3배가량 급증
"보험 대상 확대 의지 있는지 의심"

쿠팡이츠 앱 이용자 수는 1년 만에 3배 가까이 늘었다. 모바일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 ‘모바일인덱스’에 따르면, 2021년 4분기 쿠팡이츠 앱 하루 평균 이용자수(92만명)는 2020년 4분기(32만명)에 비해 189.3% 증가했다. 이어 올해 1월에만 하루 평균 이용자 수 96만명을 기록했다. 

쿠팡이츠 앱 하루 평균 이용자가 지속적으로 증가세를 보인다. /여성경제신문

쿠팡의 주력 신사업 중 하나인 쿠팡이츠는 출범 3년 만인 지난해 5958억원의 매출을 냈다. 올해 1분기 쿠팡이츠를 포함한 신사업 부문 매출은 1억8100만 달러(약 2180억원)로 전년 대비 65% 증가했다. 이어 2분기에는 전년 대비 10% 증가한 1억6029만 달러(약 2082억원) 매출을 올렸다. 

쿠팡은 최근 쿠팡이츠 매각설을 일축하며 허위 사실 유포에 법적 조치를 취할 것이라는 강경한 입장을 취하기도 했다. 그만큼 쿠팡이츠에 투자를 지속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나, 그럼에도 라이더를 보호하는 보험을 확대할 방침은 뚜렷하지 않다.

배달노동자 노동조합 라이더유니온 관계자는 여성경제신문과의 통화에서 "쿠팡이츠가 시간제보험을 확대하겠다고 밝힌 지 5개월이 넘었는데도 변동사항이 없어서 적용 대상을 확대할 의지가 명확히 있는지 의심스럽다"라고 말했다.

이어 관계자는 "PM은 법률상 인도가 아닌 차도로 다녀야 하기 때문에 사고의 가능성과 위험성이 충분히 있다"고 말하며 "PM라이더들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보험이 시급히 도입되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쿠팡 라이더에 대한 안전 이슈는 매년 거론됐다. 장기환 쿠팡이츠 서비스 대표는 2021년 10월에 열린 국회 국토위 국정감사에서 배달 파트너 안전 문제에 대해 질의를 받은 바 있다. 실제로 쿠팡 배달 노동자 산재 사고는 2019년 1393건에서 2021년 상반기 1700여 건으로 증가했다.

나흘 앞으로 다가온 윤석열 정부 첫 국정감사에서도 쿠팡의 경영진들이 출석할 예정이다. 정종철 쿠팡 풀필먼트 대표, 주성원 쿠팡 전무가 10월 5일부터 시작되는 환경노동위원회 고용노동부와 보건복지위원회 감사에 각각 증인으로 참석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