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실, 878억 들여 영빈관 신축···"국격 맞지 않아서"
집무실 이전비도 300억 초과 "외빈 접견 시설 필요"
대통령실이 878억원을 들여 기존 청와대 영빈관을 대체할 외빈 접견 시설을 추진하려는 것으로 확인됐다. 대통령실이 기존에 대통령 집무실 이전에 필요하다고 밝혔던 예산 496억원을 훌쩍 넘는 금액이라 논란이 예상된다.
한병도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기획재정부로부터 제출받은 '국유재산관리기금 예산안 자료'에 따르면 기재부는 용산 대통령실 인근에 외빈 접견 등을 위한 부속시설 신축을 위한 사업비로 총 878억6300만원을 편성했다.
사업 시행 주체는 대통령비서실, 사업 기간은 2023~2024년이다. 내년 한 해만 497억4600만원이 책정됐지만 사업 타당성을 사전에 검증하는 예비 타당성 조사는 공공청사 신·증축 사업을 제외하는 현행법에 따라 면제됐다.
자료에 따르면 기재부는 "안정적인 국정 운영을 뒷받침하기 위해 외빈 접견 및 각종 행사 지원 등을 위한 주요 부속 시설을 신축하는 것"이라고 사업 목적을 밝혔다. 또 해당 사업의 기대 효과로 "외빈 접견장 마련을 통한 국격 제고, 행사장 임차 예산 절감 등"을 제시했다.
이에 더해 대통령실 이전 관련 예산도 점차 늘고 있다. 애초 대통령실은 집무실 이전 비용으로 예비비 496억원을 지출할 예정이었다. 하지만 올해 2분기(4~6월) 정부 예산 전용 내역에는 경찰 경호부대 이전 비용 등 307억8500만원이 추가 투입된 것으로 나타났다.
대통령실은 서면 입장문을 통해 "청와대를 국민에게 돌려드리고 용산 대통령실로 이전한 뒤 내외빈 행사를 국방컨벤션센터 등에서 열었으나 국격에 맞지 않는다는 평가가 적지 않았다"면서 "이에 부속시설 신설 필요성을 국회에 제안한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예산안의 최종 결정권은 국회에 있다"며 "예산안이 확정되면 관련 비용을 국민 앞에 투명하게 공개하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