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박원순 서울시', 김정은 환영 집회 단체에 수천만원 지원했다

평화이음 1500만원·겨레하나 5600만원 현재는 尹정부 비난 앞장서 박상혁 "친북 단체에 혈세 지원 있을 수 없는 일"

2022-09-09     이상무 기자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서울 방문을 환영하는 '위인맞이환영단' 관계자들이 2018년 12월 24일 서울 서대문구 신촌로에서 김 국무위원장의 서울 방문을 환영하는 지하철광고를 불허한 것과 관련해 규탄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서울시가 고(故) 박원순 전 시장 재임 기간 '김정은 서울 방문 환영 집회'를 주도했던 좌파 성향 단체에 '혈세' 수천만원을 지원한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이들 단체 중 한 곳은 박 전 시장 시절 집중 지원을 받았는데, 초등학생에게까지 '김정은 방한 환영 참가신청서'를 배포해 논란이 됐던 곳이다. 서울시가 세금으로 친북 활동을 도와줬다는 비판이 거셀 것으로 보인다.

9일 박상혁 국민의힘 서울시의원(서초갑)이 입수한 '2010~2020년 비영리민간단체 공익활동지원사업 지원 내역'에 따르면 서울시는 연간 20여억원을 시민단체 100여 곳에 보조금으로 나눠줬다.

'평화이음'이라는 단체는 2020년 1500만원을 받았다. 평화이음은 2018년 11월 9개 기타 단체를 모아 '김정은 국무위원장 서울방문 평화이음 환영위원회'를 결성해 서울 도심 곳곳에서 "김정은 환영"을 외치는 집회를 여는 데 기여했다.

평화이음은 당시 집회를 주도했던 한국대학생진보연합(대진연)과 사무실을 같이 사용했는가 하면, 2019년 10월엔 대진연의 '주한 미국대사관저 난입' 사건으로 경찰의 압수수색도 받았다. 지난해 평화이음은 대진연에 500만원을 후원하기도 했다. 평화이음 황선 공동이사는 2014년 ‘종북 콘서트’ 논란을 일으켰던 인물이다.

또 다른 단체 '겨레하나(명칭 변경 전 우리겨레하나되기운동본부)'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김정은 방한 환영단체인 '서울시민환영단' 참가 신청서가 담긴 엽서를 배포해 논란이 일었다. 미성년을 대상으로 한 노골적 정치활동이며, 학교 측에 신청한 내용과 판이하게 달랐다는 비판이 제기됐다. 당시 겨레하나는 "일부 직원의 실수"라며 "참가 신청을 안내하거나 권유하지 않았다"고 해명했다.

 

8일 겨레하나 홈페이지 메인에 '김정은 시대 북한의 선택' 책 홍보가 올라와 있다. /겨레하나 홈페이지 캡처

겨레하나는 '박원순 서울시'의 집중 지원을 받았다. △2012년 1500만원 △ 2015년 1400만원 △2016년 1300만원 △2017년 1400만원 등 4년간 총 5600만원을 지원 받았는데, 지원사업의 주요 내용은 '서울시민평화산책 프로젝트' 등이었다. 이 단체의 친북 활동에 비춰 사실상 지원 목적과 다르게 세금이 전용된 셈이다.

본지는 세금 전용과 구체적 지원금의 사용내역 등에 대한 설명을 듣기 위해 평화이음과 겨레하나에 연락을 취했으나 닿지 않았다.

'박원순 서울시' 시절 지원금을 받으며 몸집을 불린 이들 친북 성향 단체는 현재 정치적 목소리를 꾸준히 내고 있다. 평화이음은 올해 대선 국면에서 윤석열 후보의 선제타격론을 두고 "전쟁을 부르는 후보에게 단 한 표도 주지 맙시다"라는 논평을 냈다. 윤 대통령의 지난달 8·15 경축사에 대해서는 "아무것도 감당하지 못하는 무능·무지능·무모한 정권이 전 민족을 포화 속으로 몰고 가고 있다"고 맹비난했다.

겨레하나는 지난 7월 국방부가 전쟁기념관 내 ‘북한 도발관’을 확대 개편한다고 하자, "한반도 평화 정착을 위해 남북관계 개선에 나서도 모자랄 판에, 적대와 대결만을 부추기는 ‘북한 도발관’ 확대 개편 계획은 중단돼야 한다"고 질타했다.

박상혁 시의원은 이날 여성경제신문과 통화에서 "지난 12년 동안 서울시의회가 민주당에 의해 장악돼왔고, 서울시도 10여 년간 박원순 전 시장에 의해 시정이 이뤄졌다"며 "상당 기간 좌파 성향의 시민단체들이 소중한 서울시민들의 혈세를 지원받아 왔고 현재도 진행 중"이라고 지적했다.

박 시의원은 "특히 친북 성향의 시민단체가 김정일 서울 답방 환영 집회를 준비하는 것까지 시민의 혈세가 지원된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며 "앞으로도 잘못된 시민단체에 대한 지원을 바로잡아 '서울바로세우기'를 펼쳐나갈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박상혁 국민의힘 서울 서초갑 시의원 /박상혁 시의원

서울시는 서울시 사업에 참여하거나 지원을 받아온 시민단체에 대한 대대적 감사와 점검을 진행 중이다. 오세훈 시장은 지난해 9월 "지난 10년간 민간보조금과 민간위탁금으로 지원된 총 금액이 무려 1조원 가까이 된다"며 "서울시의 곳간은 결국 이렇게 시민단체 전용 ATM기로 전락해갔다"고 꼬집었다.

서울시 관계자는 본지에 "2022년도 지원 대상 명단에 평화이음이나 겨레하나는 없다"며 "현재 시 감사위원회에서 각 분야별로 대상을 나눠 문제가 있는 시민단체에 감사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