못사는 것도 서러운데···가난할수록 치매 위험도↑

70세 이상 미국 고령층 대상 조사 저임금 집단 '기억력 감퇴' 빨라져

2022-08-09     김현우 기자
높은 임금을 받는 노동자 대비, 저임금 노동자가 노년기에 기억력 감퇴를 더 많이 경험한 것으로 조사됐다. 만 70세 이상 미국 고령층 시민 총 3858명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다. /게티이미지뱅크

소득이 낮은 계층일수록 치매 위험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내 시민을 대상으로 소득·실업률·재산·주택 소유 여부 등을 바탕으로 국제알츠하이머협회가 연구한 결과다. 

8일 알츠하이머협회에 따르면, 높은 임금을 받는 노동자 대비, 저임금 노동자가 노년기에 기억력 감퇴를 더 많이 경험한 것으로 조사됐다. 총 3858명, 만 70세 이상 미국 고령층 시민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그 결과 사회경제적 빈곤 및 지역별 경제 수준이 개인별 치매 위험도에 영향을 준 것으로 확인됐다. 경제력이 좋지 않을수록 지역사회의 지원, 섭취 음식 영양도, 냉·난방 및 의료 서비스 등의 지원을 받기 어려워 치매를 일으키는 유전자를 가질 확률이 높다는 것이다. 

지역사회 서비스 취약성, 저임금을 포함한 사회경제적 빈곤 등은 치매 위험의 증가, 인지력 저하 및 기억력 감퇴와 관련성이 높다는 해석이다.

연구를 진행한 매튜 바움가트(Matthew Baumgart) 알츠하이머협회 보건 정책 담당은 발표 자료를 통해 "빈곤 및 지역 수준의 사회경제적 박탈감 모두 치매 발생 위험도에 기여했다. 좋지 않은 환경의 사람들이 치매에 걸릴 확률이 높다는 게 확인됐다"고 전했다. 

이어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건강의 사회적 결정 요인을 지속 연구해야 할 필요가 있다"며 "이를 통해 공중 보건 정책 개선 및 시행을 조율할 수 있다"라고 강조했다.

최호진 대한치매학회 교수는 여성경제신문과 통화에서 "보건 정책의 중요성을 일깨워주는 연구 결과"라며 "공중 보건 정책 수립 시, 안전, 고품질 식품, 깨끗한 야외 공간 및 의료 서비스를 포함한 지역사회 자원의 개선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는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