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지선 격전지-강원] 춘천 김진태·원주 이광재… 강원지사 승부처는
첫 강원특별도지사 선거… 국민의힘 탈환? 민주당 수성? '영서지역' 金·李, 제2도청사 영동지역 건립으로 표심잡기
강원특별자치도 특별법이 16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를 통과했다. 강원도지사에 출마하며 더불어민주당에 입법 전제를 내걸었던 이광재 후보의 공약이 구체화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맞서 김진태 국민의힘 강원지사 후보도 세부 공약을 발표하며 윤석열 정부와 '원팀'으로 특별자치도의 '실질적 완성'을 약속했다.
윤석열 대통령의 외가가 있는 곳으로도 알려진 강원도는 민주당에선 '친노(親盧) 좌장'으로 불리는 전직 지사 이광재 후보가, 국민의힘에선 '보수 적자'를 자처하는 김진태 후보가 맞붙는다.
두 후보는 모두 83학번으로 같은 시대를 보냈지만 이 후보는 대표 운동권 출신이고 김 후보는 공안검사 출신이라는 점에서 삶의 궤적은 대조적이다. 정치적 입지를 다진 기반도 이 후보는 586을 대표하는 '친노' 정치인으로 국회의원과 강원지사를 거치며 성장한 반면, 김 후보는 강원 춘천지검 원주지청장을 거쳐 친(親)박근혜계로 춘천에서 정치인으로 입지를 다졌다.
李의 강원도정 복귀냐… 金의 탈환이냐
두 후보의 공약은 크게 강원특별자치도 구체화와 강원도청 신축 이전과 영동지역 제2도청사 신설 문제를 꼽을 수 있다. 먼저 강원특별자치도 법안은 앞서 이 후보가 지사 선거 출마 전제 조건으로 민주당에 5월 입법을 내걸었던 바 있다.
강원도의 10년 숙원이기도 한 법안은 강원도에 고도의 자치권을 보장하고 도 발전에 걸림돌로 작용하는 규제 완화 등을 골자로 하는 내용이다. 26일 국회 본회의 통과를 앞두고 있고 이미 큰 이견 없이 상임위를 통과한 상태라 제주와 세종시에 이어 세 번째 특별자치단체가 될 전망이다. 법안이 국회를 통과하면 오는 6월 중 강원특별자치도 출범이 가능해져, 이번 지선에서 당선되는 도지사 후보가 강원도 최초의 특별자치도지사가 되는 셈이다.
이로 인해 선거를 앞두고 후보들은 강원특별자치도 설치와 관련해 '공적 다툼'을 벌이는 상황이다. 이 후보는 지난 17일 "강원특별자치도법의 국회 통과는 이광재의 첫 번째 선물"이라며 "윤석열 정부의 인수위원회는 2025년에 특별자치도를 추진하겠다고 했는데 이건 하지 말자는 얘기였다"라며 자신과 민주당의 성과임을 강조했다.
이에 대해 김 후보는 "강원특별자치도 법안 통과는 환영할 일이지만, 12년이나 된 법안, 공약이다"며 "문재인 대통령이 후보였을 때부터 공약이었는데 통과된 시점은 윤석열 정부라는 점을 주목해달라"고 했다. 이어 "백지에서 시작해서 그림을 그리고 색칠을 하고 강원특별자치도가 정말 작동하게 하는 것은 힘 있는 여당에서 더 잘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강원도청 제2청사 신축 이전 놓고 신경전
두 후보가 신경전을 벌이는 것은 또 있다. 현 강원도청을 캠프페이지(옛 미군기지)로 신축 이전하는 것과 영동지역에 강원도청 제2청사를 신설하는 문제다. 현재 춘천시에 있는 강원도청은 최문순 현 강원지사가 노후화 등의 이유로 캠프페이지로 신축 이전을 확정한 상황인데, 김 후보는 결정 과정 등에 문제를 제기하며 전면 재검토를 꺼내 들었다. 반면 이 후보는 캠프페이지에 도청을 이전하고 벤처기업 등을 유치하겠다는 입장이다.
강원도가 1월 청사 신축 이전 부지로 확정한 춘천시 근화동에 위치한 캠프페이지는 6.25전쟁 이후 미군이 주둔하다 지난 2007년 춘천시에 반환된 곳이다. 강원도 결정으로 예정대로라면 오는 2027년까지 청사를 완공하게 된다. 현재 강원도청은 1957년 준공돼 안전진단 평가에서 C등급을 받아 신축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돼왔다.
강원도청 제2청사 영동지역 건립은 두 후보의 정치적 기반이 영서지역이라는 점에서 출발한다. 지역적 지지층이 겹친다는 전제하에 강원지사 선거의 승부처가 될 것으로 전망되는 영동지역 표심잡기에 '강원도청 제2청사 신설'을 꺼냈다는 것이다. 거론되는 지역은 강릉과 동해 등이 꼽힌다. 이 후보는 이에 더해 '동해안발전청' 설립까지 공약했다.
하지만 지난 대선에 이어 이번 지선까지 강원도청 제2청사 등이 후보들의 공약으로 거론되지만 구체적 논의는 빠져 있어 정치적으로만 이용되는 게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 앞서 대선에 민주당은 강릉에 제2도청사를 건립하겠다는 공약을 제시했고 이번 지선에서 역시 다시 거론되고 있다.
한편 강원도지사는 2011년 보궐선거에서 민주당 소속인 최문순 현 지사가 당선된 이후 내리 3선을 지냈다. 하지만 최근 여론조사 전문업체 케이스탯리서치가 조선일보와 TV조선 의뢰로 14~15일 강원지역 유권자 806명을 대상으로 실시해 17일 발표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강원도지사의 경우 국민의힘 소속 김 후보가 48.2%의 지지율을 얻어 41.7%를 얻은 이 후보를 앞서고 있는 상태다. 미디어토마토 조사에서도 김진태 48.1%, 이광재 40.1%로 김 후보가 이 후보를 8%p 차로 앞선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더불어민주당 관계자는 여성경제신문과 통화에서 "수도권을 제외하고 여야 모두 사활을 거는 곳 중 한 곳은 강원도라고 할 수 있을 것"이라며 "여야 모두 한 곳이라도 더 승기를 잡아야 하는데, 아직은 확신할 수 없다. 역전을 기대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국민의힘 관계자는 본지에 "윤석열 정부 출범 후광이 있겠지만 아직은 얼마 되지 않아 오롯이 전달되지 않을 수도 있는 것이 사실"이라며 "하지만 강원도 바뀌어야 한다는 흐름이 보인다. 여론조사를 보면 충분히 좋은 기대를 해도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