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재부, 외환시장 안정 의지 확인···국내 영향 ‘아직’
변동성 확대 지속 전망 “러 제재·금리여건 등 요인” 외국 자금유출·러 디폴트 진단···“국내 여파 제한적”
기획재정부(기재부)가 거시경제금융회의를 열고 선제적인 외환 시장 위험 대응 의지를 강조하면서도 글로벌 금융 이슈의 국내 영향에 대해선 소극적인 태도를 보였다. 특이 징후가 없거나 섣부른 결정은 이르다는 판단 때문이다.
29일 이억원 기재부 1차관은 서울 은행회관에서 열린 거시경제금융회의에서 “외환시장 동향을 면밀히 모니터링하며 급격한 시장 쏠림 발생 시 안정조치를 실시한다는 원칙을 견지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도 금리차 역전·자금 유출·러 디폴트 등 글로벌 현안의 국내 영향은 미미할 것으로 내다봤다.
기재부는 변동성 확대 이슈가 시장 내 만연하다고 분석했다. 급격한 금리 인상 속도와 시장 불확실성이 해소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 1차관은 “미국 국채의 장단기 금리가 일시적으로 역전됐고, 한미 간 국채 금리차도 축소되는 등 국내외 금리 여건이 변화하고 있다”며 “우크라이나 사태와 대러 제재 지속, 중국 경기 둔화 우려 등이 금융시장의 충격요인이자 글로벌 금리 인상 또한 경제 하방 압력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는 최근 급등 중인 원·달러 환율 현안에 대한 발언으로 풀이된다. 28일 원·달러 환율은 달러 당 1270원을 넘었다. 직전날 종가보다 7.3원 오른 1272.5원에 마감되면서다. 이번 주에만 33.4원 올랐다. 금융계에선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를 앞두고 달러는 강보합권에서 등락 중”이라며 “현 추세로는 조만간 1300원대도 넘어 강세는 지속될 것”이라고 전망한다.
이같은 의지를 확인시키면서도 기재부는 최근 미국 국채 금리차 역전 현상으로 불거진 경기 침체 우려에 대해선 확답을 피했다. 이 1차관은 “경기 침체 선행성이 높은 10년물과 3개월물 금리차에선 특이 징후가 관찰되지 않았다”면서 “일시적 역전만으론 경기침체를 예단할 수 없다”고 말했다.
또 기재부는 일각의 자금 둔화 전망에 대해서도 급격한 유출은 없을 것으로 내다봤다. 이 1차관은 “외국인 자금 유출입은 금리차 외에도 환율 전망·실물 경제 여건·대외신인도 등 다양한 요인을 살펴야 한다”며 “과거 내외금리 역전 시기에도 외국인 자금 유입세가 지속됐다는 점을 감안하면 여파는 제한적일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한편 러시아 디폴트(채무 불이행) 이슈는 국내 이슈와도 상존하는 상태다. 이미 국내 기업 사이에선 외화채 발행을 위한 작업에 속도전이 붙었다.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러시아는 외화 표시 국채 만기가 다가오면서 이달에만 갚아야할 원리금이 6억1000만 달러를 웃돈다는 분석이다.
그러나 기재부는 이 또한 영향이 제한적일 것으로 봤다. 국제금융권 대다수에서 러시아와 익스포저(연관 금액)는 절반 이상 감소했다는 분석에서다. 정부 분석에 따르면 2022년 2월말 기준 국내 금융기관의 대러 익스포저 비중은 전체의 0.4% 수준이다. 이 1차관은 “국내 금융기관 대러 익스포저도 전체 대비 미미한 수치를 보인다”며 “관련 동향과 우리 경제에 미칠 파급영향 등을 면밀히 점검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