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한울 1호기 운영허가 상정 불발···다음 회의로 미뤄져

한수원이 전일 서류 변경 요청···기술적 문제는 없는 듯

2021-06-11     이상헌 기자
경북 울진군 신한울 원전 전경. / 한국수력원자력 제공

원자력안전위원회는 11일 제140회 원자력안전위원회를 열고 경북 울진 신한울 원자력발전소 1호기 운영허가안을 논의했으나 결론을 내지 못하고 이후 회의에 재상정하기로 했다.

이날 신한울 1호기 운영허가안은 지난해 11월 원안위가 심의에 착수한 지 7개월만에 상정이 예고된 것이다. 원안위 관계자는 "한국수력원자력이 전일 원안위에 운영허가 서류 변경이 필요하다고 보고했다"며 "변경 사항에 대해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의 추가 검토를 거친 후 종합적으로 심의를 진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원안위는 그동안 12번의 회의를 진행하면서 신한울 1호기 운영 심의를 위한 보고만 받고, 운영 허가 안건을 상정하지 않았다. 이에 원전 업계에서는 "문재인 정부의 탈(脫)원전 정책 때문에 운영 허가를 고의로 지연하는 것 아니냐"는 의혹을 제기하기도 했다.

문재인 대통령 임기 내 가동이 불투명했던 신한울 1호기 운영허가안이 상정을 앞두기 까지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의 힘이 작용했다는 얘기도 나온다. 안 대표가 지난달 26일 여야 대표 초청 청와대 오찬에서 신한울 1호기 운영허가가 6개월째 지연되고 있다는 문제를 제기하자 문 대통령은 "처음 듣는다. 살펴보겠다"는 반응을 보인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해 4월 시공을 마친 신한울 1호기는 한국형 원전(APR1400)으로 발전용량은 1400MW급이다. 이후 지난해 11월 원안위 회의에서 신한울 1호기 운영에 대한 첫 심의가 열렸으나 환경단체가 '피동촉매형수소재결합기'(PAR) 안전성 문제를 들고 나왔다.

PAR은 원자로 격납 건물 내부의 수소 농도를 낮추는 장치로, 지진이나 해일 같은 대형 재난 발생 시 자동으로 원전 내 수소 농도를 옅게 만들어 폭발을 막아주는 기능을 한다. 2011년 일본 후쿠시마 원전은 격납용기 내 수소가 제거되지 않아 폭발했고 이후 한국도 중대사고 예방을 위해 국내 원전에 PAR을 설치했다.

한수원 관계자는 "해당 실험은 중대 사고가 발생할 경우 이미 성능이 검증된 PAR이 제역할을 하는지 파악하기 위한 실험이었다"며 "PAR의 성능에는 문제가 없다"고 해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