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5)민영주, 생존 여성독립운동가

여성경제신문·항일여성독립운동기념사업회 공동 기획

광복 75주년 기념 ‘오늘 그녀의 이름을 불러주세요‘

 

희생과 헌신으로 나라를 지켰던 항일독립운동가는 300여만 명. 그러나 2019년 기준 독립유공자 포상을 받은 독립운동가는 1만 5825명, 이들 중 여성독립운동가는 3%인 472명에 불과하다.

여성경제신문은 광복 75주년을 맞아 (사)항일여성독립운동기념사업회와 공동으로 유관순 열사와 같이 또렷이 기억해야 할 항일여성독립운동가 75분을 1차로 8월부터 10월까지 소개한다.

아울러 항일 운동이 활발히 펼쳐졌던 미국에서 그분들의 고귀한 정신을 기리기 위한 초상화 전시회가 국가보훈처 후원으로 10월 9일부터 21일까지 뉴욕, 필라델피아, 워싱턴DC에서 성공리에 진행됐다.

민영주(作진숙희) / (사)항일여성독립운동기념사업회 제공
민영주(作진숙희) / (사)항일여성독립운동기념사업회 제공

민영주 지사는 1922년 중국 상하이에서 독립운동가 민필호(임시정부 비서실장)와 신창희(독립운동가 신규식의 외동딸) 부부 사이에서 장녀로 태어났다. 그녀는 1940년 9월 한국광복군 총사령부가 창설되었을 때 광복군에 입대했다.

1942년 1월에는 한국임시정부 내무부 부원으로 파견되어 근무하였으며, 충칭 방송국의 방송을 통한 심리작전 요원으로 활동했다. 1944년에는 '한국독립당'에 가입했으며, 임시정부 주석 판공실 서기로 파견되어 이범석 장군의 비서를 맡기도 했다.

같은 해 일본 유학 중 학병으로 징집됐다가 탈출해 광복군에 참가한 김준엽(애국장, 1990)과 결혼했으며, 1년 뒤인 1945년 4월에는 광복군 제2지대에 편입되어 복무했다.

광복 후 고려대학교 총장으로서 군부 독재에 맞선 남편을 보필하고, 당시 군부 독재에 맞선 장준하 등의 인사들과 친분을 맺었다. 2011년 남편이 사망한 뒤 모든 대외활동을 그만두고 칩거했다. 현재 오랜 병환으로 요양병원에 입원 중이다.

올해 8월 유순희 지사가 돌아가시면서, 국가보훈처에 등록된 생존 중인 여성독립운동가는 민영주 지사와 오희옥 지사 두 명뿐이다.

저작권자 © 여성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